
세종시 행정안전부. [사진=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30일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 협의회'를 공식 출범하고, 온라인 영상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이 모여 실무 현안을 논의하는 정부 내 협의체다. 책임관은 기관 내 데이터 현황을 관리하고, 데이터 공동 활용과 분석 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이날 첫 회의에서 협의회 구성·운영계획과 올해 데이터기반행정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다. 추후 분기별 회의에서 데이터기반행정 현안과 기관 간 협업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사안에 따라 재난안전·환경·복지 등 분야별 협의체를 구성해 행정혁신도 촉진한다.
협의회 차원에서는 데이터기반행정이 각 부처에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 우수 행정혁신 사례가 공유·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행안부는 데이터기반행정이 초기에 자리 잡을 수 있게 '정부통합데이터분석센터'도 설치할 방침이다. 범정부 차원 데이터 분석으로 국정과제와 정책 현안을 지원하고, 재난안전·복지·민원 등 분야별로 데이터 기반 대국민 서비스 개선 사례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공동활용 데이터 등록·활용 절차를 마련하고, 수요가 높은 민간데이터를 공공기관이 살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책임관과 데이터 담당자, 현업 공무원 등 사용자별 맞춤형 데이터기반행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전 부처에 제공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공공데이터를 관리하고 총괄·조정하는 책임관을 통해 기관별 데이터 공동 활용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영 행안부 차관은 "회의에서 나온 각 기관 애로·건의사항을 협의회를 통해 속도감 있게 구체화해 정책에 반영하겠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데이터기반행정 문화를 기관에 뿌리내려 지능형 행정서비스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