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루킹 댓글 여론 조작' 사건에 연루돼 징역 2년이 확정된 김경수 경남지사가 21일 경남도청에서 입장 표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법원 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21일 댓글로 여론조작을 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김 지사 상고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지난해 11월 상고심이 접수된 지 8개월 만에 나온 결론이다.
김 지사는 '드루킹'으로 불리는 김동원씨 일당과 공모해 2016년 11월부터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문재인 대통령 당선을 위해 자동화 프로그램 '킹크랩'으로 포털사이트 댓글을 조작한 혐의(컴퓨터 등 장애 업무방해)로 재판에 넘겨졌다. 자신이 출마한 2018년 6·13 지방선거를 돕는 대가로 2017년 말 김씨 측에 일본 센다이 총영사직을 제안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도 있다.
1심은 혐의 모두를 유죄로 봤다. 댓글 조작 혐의에 징역 2년형을 내리고 김 지사를 법정구속 했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2심도 댓글 조작 혐의는 유죄로 보고 징역 2년을 선고했지만 구속하지는 않았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무죄로 판단했다.
대법원은 1·2심과 마찬가지로 김 지사가 킹크랩 시연회를 참관했다고 봤다. 대법원은 "원심이 자유심증주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법리 오해 등이 없다"며 김 지사 측이 제기한 상고를 기각했다.
허익범 특별검사팀이 상고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특검은 김 지사가 김씨 측에 센다이 영사직을 제안한 건 지선 댓글 조작의 대가라고 봤다. 반면 2심은 지선이 아닌 대선 지원에 대한 보답으로 봐야 한다며 무죄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도 "김 지사 측 이익 제공 의사표시가 지선과 관련해 이뤄졌다고 볼 증거가 부족하다는 원심 판단은 법리적으로 잘못이 없다"고 판단했다.
징역 2년 실형이 확정되면서 김 지사는 조만간 재수감 되고, 지사직도 상실했다. 선출직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원 이상, 형사사건은 금고형 이상 형을 확정받으면 직을 잃는다. 형이 끝난 뒤 5년간 선거에 나갈 수도 없다.
1심은 혐의 모두를 유죄로 봤다. 댓글 조작 혐의에 징역 2년형을 내리고 김 지사를 법정구속 했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2심도 댓글 조작 혐의는 유죄로 보고 징역 2년을 선고했지만 구속하지는 않았다.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무죄로 판단했다.
허익범 특별검사팀이 상고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특검은 김 지사가 김씨 측에 센다이 영사직을 제안한 건 지선 댓글 조작의 대가라고 봤다. 반면 2심은 지선이 아닌 대선 지원에 대한 보답으로 봐야 한다며 무죄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도 "김 지사 측 이익 제공 의사표시가 지선과 관련해 이뤄졌다고 볼 증거가 부족하다는 원심 판단은 법리적으로 잘못이 없다"고 판단했다.
징역 2년 실형이 확정되면서 김 지사는 조만간 재수감 되고, 지사직도 상실했다. 선출직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00만원 이상, 형사사건은 금고형 이상 형을 확정받으면 직을 잃는다. 형이 끝난 뒤 5년간 선거에 나갈 수도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