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윤 당선인 집무실 이전 후보지는 국방부와 외교부가 거론됐다. 이 가운데 국방부로 최종 확정한 것은 국민과 소통을 원활히 하려는 목적에 국방부가 더 부합한다고 봤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윤 당선인은 20일 “용산 대통령실 주변에 수십만 평 상당의 국민 공간을 조속히 조성하여 임기 중 국민과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용산 주민들은 희망과 우려를 동시에 드러냈다. 용산 지역 개발 가능성이 커지는 데 대한 기대가 커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교통 정체나 집회·시위 문제로 골머리를 앓을까 걱정된다는 반응이다.
한남3구역에 사는 김모씨(38)는 “용산 주민으로서는 개발 호재가 있으니 반가운 소식”이라며 “윤 당선인이 후보 시절부터 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만큼 ‘용산 대통령’이 된다면 한남 쪽 재개발에 박차가 가해지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현재 청와대 인근이 집회나 시위로 시끄럽듯이 용산에 집무실이 꾸려지면 비슷한 문제를 겪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며 “또 용산은 교통 환경이 좋은 편이 아닌데 집무실을 옮기면 도로가 더 붐빌 것 같아 출퇴근길도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현시점에 이전해야 하느냐는 의문도 상당했다. 윤 당선인이 내세운 ‘소통 용이성’ 측면에서 청와대보다 국방부가 얼마나 더 장점이 있는지, 집무실을 옮기는 대대적 작업을 코로나19 사태로 혼란스러운 지금 꼭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물음표가 남아 있는 것이다.
민모씨(50)는 “왜 집무실이 청와대가 아닌 용산이어야 하는지를 밝혀야 할 것 같다”며 “인수위는 ‘전문가 자문을 구했다’고 하는데 누군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자문은 믿을 수 없다. 누구에게 어떤 조언을 받았는지도 명확히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염모씨(29)는 “국방부는 기존에 안보를 다루는 시설이었던 만큼 청와대보다 폐쇄적이고 소통하기 어려운 곳으로 보인다”며 “집무실 이전과 관련한 대국민 합의를 거치지도 않은 시점에 집무실 이전 공약은 이미 명분을 잃었다고 보며, 지금이라도 이전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모씨(25)도 “용산으로 집무실을 옮기는 데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돈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라며 “코로나19 유행으로 가뜩이나 정부 예산이 많이 지출됐고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 집무실 이전에 투입할 예산을 더 중요한 일에 써야 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