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30세대 삶을 분석한 '2021 서울서베이'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서울시가 서울에 사는 2만 가구(15세 이상 4만411명)와 시민 5000명,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에 거주하는 2030세대(만 20∼39세)는 총 286만명으로 여성(146만명)이 남성(140만명)보다 많았다. 이들이 서울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1%다.
최근 7년 사이 서울 지역 2030세대 인구는 8.2% 감소해 시 전체 인구 감소 비율(-5.1%)보다 높았다.
2030세대 인구 감소 요인은 서울시 밖으로 전출이었다. 서울시 전출 인구 2명 중 1명꼴로 2030세대였다. 전출 사유에 따르면 20대는 가족, 직업 순이고 30대는 주택, 가족 순이었다.
서울 자치구 중 2030세대가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은 관악구(39.9%)였다. 광진구(34.2%), 영등포구(34.0%)가 뒤를 이었다. 2030세대 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노원구(26.0%)였다.
거주하는 주택 형태는 아파트(42.8%), 다세대·연립주택(28.1%), 단독주택(24.0%) 순이었다. 부모 소유 집을 포함한 자기 집이 35.8%, 보증금 있는 월세가 28.1%였다.
2030세대 중 71.5%는 통근·통학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절반 이상(55.4%)은 다른 시도나 다른 구로 이동했다.
여가 생활은 영상 시청(주중 49.7%, 주말 30.7%) 등 실내 활동을 주로 하고 있지만, 희망하는 활동으로는 문화예술 관람(14.3%)과 여행·야외나들이(14.7%)가 주중·주말 활동으로 각각 2위, 1위로 꼽혔다.
서울 지역 2030세대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49분으로 고용이 불안할수록 수면 시간이 대체로 짧았다. 유급 인턴의 수면 시간은 6시간 7분, 정년이 있는 정규직 수면 시간은 6시간 44분이었다.
2030세대 중 절반가량(46.6%)은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답했고, 그 원인으로 대인 관계(23.0%), 재정 상태(22.7%), 과도한 업무·학습량(22.2%) 등을 꼽았다. 수면 시간과 스트레스는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 형태는 정규직(67.7%), 무기계약직(19.3%), 기간제 계약직(11.9%), 유급 인턴(1.0%) 순으로 많았다. 정규직 비율은 30대로 들어서면서 다소 높아졌다.
20대는 남녀 모두 월평균 소득이 200만∼300만원으로 성별 간 큰 차이가 없었지만 30대는 남성 월 250만~350만원, 여성 200만~300만원이 주를 이뤄 급여 차이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