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청의 세입 예산은 과세권이 없어 국세와 지방세에 의존하는 구조이며, 국세와 지방세의 일정 부분을 일률적으로 시도교육청에 전달하는 형국이다.
특히 중앙 정부에서 배정하는 교육교부금 말고도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시도세의 3.6~10%를 법정전출금으로 받고 있다. 경상북도의 경우 2021년에만 5444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교육청에 지원하였고 그 중 법정전출금이 4222억원이고 비법정전출금 1222억원이다.
학령 인구는 지난 20년 간 30%가 넘게 감소하고 있는데 학생 수에 관계없이 법정전출금은 정부의 세금 징수 실적에 연동돼 지속해서 늘어나고 이렇다 보니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성 자본 지출을 늘이는 상황이다.
법정전출금은 남아돌고 있는데 공립학교 설치‧운영과 교육환경개선 사업 등에만 사용하면서 다시 시도지사에게 비법정전출금의 형태로 무상 급식 등 사업에 예산 지원을 요청하고 시도는 1000억원이 넘는 재원을 고스란히 교육청으로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비효율적 재정지출구조가 지방대 위기와 같은 고등교육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OECD가 공개한 ‘OECD교육지표 2022’ 분석 결과를 보면 특히, 한국은 초중등교육에 대한 지출 비중은 OECD 평균보다 높고 고등교육에 대한 지출은 OECD 평균을 한참 하회한다.
2019년 기준으로 초등교육에는 1만3341달러를 지출해 OECD 평균인 9923달러에 비해 34%나 높고, 중등교육은 1만7078달러로 OECD 평균인 1만1400달러보다 50% 가까이 높다. 반면, 고등교육은 1만1287달러로 OECD 평균인 1만7559달러의 64%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방 정부는 고등교육에 투자하고 대학을 혁신해 기업을 불러 모으고 일자리를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면서, “도세의 3.6%에 해당하는 교육비 특별회계 전출금의 용도를 무상 급식으로 까지 확대해 불필요한 갈등의 소지를 없애고 도청과 교육청은 함께 경북을 살리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