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행안부
공모주제는 △주소정보를 이용한 생활 편리 서비스, △주소정보와 연계한 국민 안전 서비스, △주소기반의 신산업 모델, △주소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등이다.
국민 누구나 온라인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제출된 공모안에 대하여 실현 가능성, 효율성, 창의성, 내용 구성 등을 심사하여 5편을 선정하고 10월 20일 공개할 예정이다. 선정된 5개의 아이디어는 11월 개최 예정인 ‘세계주소 콘퍼런스’에서 발표심사를 통해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행정안전부는 채택된 공모안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드림센터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에 연계하여, 주소정보 기반 관련 신산업 지원과 육성 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한편,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20개의 주소기반 아이디어는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 , ‘주소정보 활용 지원센터 운영계획’ 등에 활용되어 주소정책 발전에 밑거름이 되었다.
최훈 지방자치균형발전실장은 “주소기반 서비스는 국민 생활 편익을 높이고 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라며 , “주소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산업 창출과 정책을 위한 공모전에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