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공항공사는 최근 중국 단체여행객의 한국 방문 허용에 따라 7개 지방 국제공항의 중국 단체여행객 유치를 위한 긴급대책 회의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7개 지방 공항을 통해 입국한 중국인 여행객은 12만5000명으로 2019년 대비 18.8% 수준에 그쳤다.
공사는 이번 중국 단체관광 허용에 따라 9월 29일부터 시작되는 중국 국경절 연휴와 항공기 동계운항 시즌(10월29일) 전후로 항공 수요가 본격 회복될 것으로 보고 연말까지 중국노선 4500편 추가 운항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사는 중국 단체여행객 증대를 위해 △항공사 운항증편 및 신규노선 개설 △공항 면세점 MD정비 및 할인 프로모션 시행 △공항 내 중국 단체여행객 전용 픽업존 설치 △중국수도공항그룹 등 중국 내 주요 공항운영자들과 워킹그룹 확대 가동 △중국 젊은층이 선호하는 가능한 짧은 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많은 관광지를 보는 형태의 여행상품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서귀포 K-POP 문화축제' 등 지역 K-컬쳐 행사와 연계한 관광전세편 유치 △공항 대중교통 및 안내·통역서비스 개선 등 관광인프라를 확충 △기업 인센티브관광·의료관광 유치 위한 비용 지원 등 다각적인 수요 활성화 대책을 시행한다.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한국행 중국 단체관광이 6년 만에 재개된 만큼 지방 공항을 이용해 많은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도록 지자체·관광업계와 긴밀히 협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는 오는 18일 '국내 7개 LCC 사장단 간담회', 8월 말 '중국 인바운드 여행사 간담회' 등 항공·여행업계 릴레이 회의를 개최하고, 9월에는 북경수도공항그룹을 방문해 양국 지방 도시 간의 항공 수요 회복을 위해 협력을 모색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