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발골수종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증상이 없는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해 치료할 시 생존율이 올라간다. 때문에 초기에 병기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국제골수종연구그룹(IMWG)의 개정 가이드라인에 따라 MRI 영상에서 발견한 국소병변이 다발골수종의 새로운 진단기준으로 포함됐다.
교수팀은 암세포의 수, 종양의 크기, 신체에서 암의 총량 등을 환자군 별로 비교해 전신 MRI 영상 기반의 점수 모델을 개발했다.
이어 교수팀은 39명의 전향적 다발골수종 환자군에 점수 모델을 적용했다. 그 결과 전신 MRI 점수가 상승하면 기존 및 개정된 국제병기분류 체계(ISS)의 병기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임상적 효용성을 입증했다.
김동균 교수는 “기존의 검사 체계와 함께 전신 MRI를 활용해 골수종의 위치와 확산 정도를 식별하고 전신 종양 부하를 체계적으로 정량화하면 초기 병기설정과 위험도 분류, 예후 예측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해당 논문은 북미영상의학회(RSNA)가 발간하는 영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Radiology’ 9월호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