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아이폰 25% 관세에 "삼성도 해당…6월 말 시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톨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애플 아이폰뿐만 아니라 삼성 등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해외에서 생산된 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한 회사만 특정해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있는지와 미국 기업을 겨냥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관세 부과 대상이) 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이나 제품을 (해외에서) 만드는 다른 기업도 (해당)될 것이다"라면서 "그렇지 않으면 불공평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것은 아마 6월 말께 시작될 것이다. 우리는 6월 말까지 그것을 적절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해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를 내달 말부터 부과할 것임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업체)이 이곳에 공장을 건설하면 관세는 없다"라고 했다.

이어 그는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거점을 인도로 옮기려는 것과 관련한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와의 대화를 거론하면서 "(애플 공장이) 인도로 가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그럴 경우 관세 없이 미국에서 판매는 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소비자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 애플이 미국에서 휴대전화를 만들 수 있다고 보는 이유를 묻자 "그들은 할 수 있다. 지금은 많은 것이 컴퓨터로 작업이 이뤄진다"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나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인도 혹은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고 팀 쿡 애플 CEO에게 오래전에 알린 바 있다. 그렇지 않다면 애플은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관세 협상을 책임지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를 통해 "난 우리의 가장 큰 취약점이 해외 생산, 특히 반도체의 해외 생산이라고 생각한다. 애플에 들어가는 부품의 큰 부분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애플이 반도체 공급망을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돕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음 달 1일부터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한 자신의 이날 언급과 관련, EU가 통상 관계에서 미국을 악용했다는 주장을 반복한 뒤 "이제 내가 아는 게임 방법으로 게임을 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또 그는 '50% 관세 위협' 발언과 관련해 관세 유예기간인 90일 이내에 협상하길 희망하느냐는 질문에 "협상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협상 (내용을) 정한다. 그것은 50%다. 만약 그들이 공장을 이곳에 짓는다면 관세가 없다"는 말을 반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누군가 미국에 공장을 짓길 희망한다면 나는 그들과 (관세 부과를) 살짝 연기하는 것에 대해 대화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EU가 50% 관세를 피하기 위해 조치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묻는 말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지 보겠다"면서 "그러나 현재로 그것은 6월 1일에 진행될 것이다. 그것이 현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EU가 협상을 매우 하고 싶어 한다고 확신한다. 그러나 그들은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들이 하는 일은 미국 기업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다. 그들은 이를 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들이) 거의 자금을 모으는 메커니즘이다. 그들은 비관세와 다른 무역 장벽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