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노조, 파업 유보…노사간 평행선은 여전

서울 시내버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버스 [사진=연합뉴스]


28일 첫차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 결렬에도 파업을 미루기로 했다. 다만 통상임금을 둘러싼 노사 간 이견이 커 파업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노조는 이날 오전 0시 10분께 노사 간 임금 협상 결렬 후 오전 2시께 지부위원장 총회를 열고 파업 유보 결정을 내렸다.

당초 노조는 협상 결렬로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지부위원장 투표를 진행한 뒤 입장을 번복했다.

파업 여부와 관련한 투표 결과 재적 인원 63명 가운데 60명이 투표했고 이 중 49명이 파업 유보에 투표했다. 파업 찬성은 11명, 기권은 3명이었다.


이에 오전 4시 첫차부터 파업 예정이었던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됐다.

앞서 시내버스 노사는 전날 오후 3시부터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교섭을 진행했다. 하지만 9시간가량 이어진 협상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이날 오전 0시 10분께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하더라도 서울시와 사업주들 입장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확신이 들어 무의미한 파업이 될 것 같다”고 유보 이유를 설명했다.

노조는 사측과 갈등을 빚는 쟁점인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산입 문제를 두고 한발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이날 조합원들에게 보낸 공고문에서 “새로운 중앙정부가 구성되고 노동부 장관이 임명되면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해당함으로써 인정되는 체불임금의 지급이 신속 확보될 것”이라며 “우리의 ‘권리구제’와 ‘임금 및 단체교섭’이 별개의 문제임이 분명해져 서울시나 사업조합은 물론 어떤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부위원장들과 조합원의 지혜를 모아 전략을 수립하고 서울시, 사업조합과 마지막까지 협상에 나설 것이며 만약 합의에 이르지 못할 땐 유보 없는 파업을 단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노조의 파업 유보를 존중한다면서도 그간 주장했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조합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버스조합은 노동조합의 파업 유보 결정을 존중하는 것과 함께 노동조합과 조속히 임단협 교섭을 재개할 계획”이라며 “버스조합은 향후 노조와 교섭에서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정중히 요청하겠다”고 했다.

노사는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편을 놓고 그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정기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포함된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른 것이다.

노조는 통사임금 문제는 대법원 판결에 따른 정당한 권리이며 이번 임단협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반면 사측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할 시 과도한 인건비 부담에 따른 경영 악화가 불가피하다며 임금체계 개편을 주장해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