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6부(나진이 부장판사)는 CBS가 방통위를 상대로 제기한 제재 처분 취소 소송에서 지난 8월 원고 승소로 판결을 내렸다.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는 지난해 2월 2일 방송에서 당시 검찰이 수사 중이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명품백 수수 의혹을 다뤘다.
당시 방송에 출연한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미 국민들은 수사가 필요하다는 쪽으로 가 있다"며 "주가조작에 대해서도 사람들은 어쨌든 과거에 대선 때는 긴가민가했는데 (중략) 처가가 영부인 포함해서 한 22억인가 23억인가 이득을 봤다"고 발언했다.
재심 청구에도 선방위는 '주의'로 한 단계만 낮췄고, 방통위도 이를 넘겨받아 작년 6월 '주의'로 변경했다. 결국 CBS는 지난해 제재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해당 방송과 발언이 선방위 심의 대상인 '선거방송'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봤다. 재판부는 "방통위 처분은 심의 대상이 아닌 사항에 관한 선방위의 통보에 근거한 것으로 처분 사유가 존재하지 않아 위법하다"고 판단했다.
이어 "해당 발언들은 원칙적으로 폭넓은 비판·논평이 허용되는 대통령이나 그 배우자의 활동 등 공적 인물의 정치적 활동, 청렴성 내지 도덕성 등 공적 관심 사안에 관한 것"이라며 "당시 사회적·정치적으로 화제가 되는 사안을 다룬 것일 뿐, 정당의 정강·정책이나 후보자의 정견기타 사항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재판에서 방통위는 선방위가 설치·운영되는 기간에는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 또는 각종 정치 현안을 언급해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모두 심의 대상이라고 주장했으나, 재판부는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방통위 주장을 언급하며 "어떤 방송이 심의 또는 제재 대상이 되는 선거방송인지 알 수 없게 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법 규범 해석의 예측가능성을 박탈할 가능성이 있다"며 "헌법상 보호받는 표현에 대한 위축적 효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꼬집었다.
재판부는 앞선 '경고'도 취소해달라는 청구에는 각하를 결정했다. 재판부는 "'주의'는 '경고'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주요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경하는 처분에 해당해 그 효력을 상실했다"고 판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