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759조원' 日 대미 투자, 조선·반도체·에너지 등에 집중 전망…일본 내 신중 기류도

  • 美상무 "日 시장 개방 대안으로 지난 1월 대미 투자 펀드 제안"

  • 日 언론 "日기업 투자 확대 여부 불투명…LNG 사업 채산성도 의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7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맞이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7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맞이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무역협정에서 총 5500억 달러(약 759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이끌어 낸 가운데 투자금은 조선, 반도체, 의약품, 핵심광물, 에너지 등 미국의 전략 산업 전반에 투입될 전망이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기업들의 투자 확대 여부에 신중한 기류가 감돌며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등 일부 프로젝트의 사업성에 대한 불확실성도 제기되고 있다.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배포한 '트럼프 대통령, 미·일 간 전례 없는 전략적 무역·투자 협정 체결' 제하의 설명자료를 통해 일본의 대미 투자액이 "미국의 전략적 산업 기반 재활성화에 집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투자 분야는 신규 조선소 건설 및 국방 선박 현대화, 의약품 생산, 핵심 광물 채굴·정제, 반도체 설계·제조 역량 복원, 액화천연가스(LNG) 및 에너지 인프라 현대화 등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일본은 미국에 (투자 대상) 프로젝트를 선정할 능력을 줄 것"이라며 "대통령이 '미국에서 항생제를 만들자'고 말하면 일본이 프로젝트에 자금을 대고, 우리는 그 프로젝트를 운영할 사업자에게 줄 것이며, 이익의 90%는 미국의 납세자가 갖고 10%는 일본이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체결된 미·일 무역 협정에는 농산물, 에너지, 방위산업 등에서의 구매 약속도 포함됐다. 일본은 미국산 옥수수, 대두, 비료, 바이오에탄올,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80억 달러어치를 구매하고 미국산 쌀 수입량을 75% 늘리기로 했다. 미국 보잉사의 항공기 100대 구매도 합의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본은 방위 지출 분야에서 미국 기업으로부터의 조달 규모를 연간 140억 달러에서 17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하고 알래스카 LNG 공급 계약 등 에너지 수입 확대에도 나서기로 했다. 다만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방위 지출과 관련해 "이미 결정돼 있는 방위력 정비계획 등에 근거한 것“이라며 "무엇이 일본 방위력 강화에 적합한가를 가장 먼저 생각해 구입할 방위장비의 구체적 기종과 수량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분야에선 미국산 자동차 및 트럭에 대한 장기 수입 제한이 해제되고, 미국의 안전·환경 기준이 일본에서 처음으로 승인될 예정이다. 일본 산업계는 자동차 관세율이 기존 25%에서 절반인 12.5%로 인하된 데 대해 일단 "최악의 사태는 피했다"는 안도감을 나타냈다. 골드만삭스는 관세 인하 시 일본 자동차 업체 7곳의 연간 비용 부담이 약 3조4700억엔에서 1조8900억엔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일본 언론들은 막대한 대미 투자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두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반도체와 조선을 중심으로 경제 안보상 중요도가 높은 분야에서 일본과 미국이 협력을 꾀할 것"이라면서도 "의도대로 일본 기업이 투자 확대를 추진할지 여부에는 불투명함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알래스카 LNG 사업의 채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주요 일본 상사들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협상단과 만나 관세를 1%포인트씩 내리는 조건으로 대가를 바라는 식의 조건부 거래를 강하게 밀어붙였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관세를) 1% 내린다면 그 대신 이것을 주지 않겠는가", "쌀 수입을 더 확대해야 한다", "반도체에 대한 투자, 지원액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일본 측에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측 협상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 숫자를 언급하며 요구했다"며 "담당자가 10명은 되지 않으면 버틸 수 없다는 느낌이었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