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日스즈키, 인도서 승부수…11조원 투입해 車생산기지 짓는다 일본 자동차 기업 스즈키가 인도에 7000억 루피(약 11조1580억원)를 투자해 전기차 등 생산시설을 확대한다고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이 보도했다. 스즈키 도시히로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인도 자회사인 마루티 스즈키의 서부 구자라트주 전기차 공장 완공 기념식에서 인도에 70억 루피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며 “이 공장이 연간 100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세계 최대 규모 자동차 생산 허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즈키는 이번 투자 계획이 향후 5~6년에 걸쳐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 2025-08-27 16:10:13
-
트럼프, 본격 연준 장악 의지…연준 독립성 훼손에 세계 경제 우려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사 쿡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를 전격 해임 통보한 가운데 연준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 인하를 위해 연준을 자신의 인물들로 채우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되며 미국과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쿡 이사 후임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주 훌륭한 인물들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2025-08-27 15:58:18
-
"미국, 우크라 안전보장에 방공·정보 자산 지원"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전쟁 후 안전보장을 위해 유럽 주도의 지상군에 방공 및 정보 자산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유럽 측에 정보·감시·정찰(ISR), 지휘통제 및 방공 자산을 포함한 ‘전략적 지원 자산’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8일 백악관에서 유럽 주요국 정상들과 만나 전후 우크라이나 안전보장 조율에 참여하겠다는 2025-08-27 15:11:49
-
미국, 800달러 이하 소액소포 무관세 혜택 29일부터 폐지 29일(현지시간)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800달러(약 111만6000원)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한 무관세 정책이 폐지된다. 26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29일부터 미국으로 반입되는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무관세 혜택을 폐지한다. 향후 6개월 동안은 소포 배송 업자들이 종가세 대신 종량세를 택할 수 있지만 6개월 이후부터는 모두 종가세로 통일된다. 미국은 2016년부터 내용물이 800달러 이하인 소포에 한해 관세를 면제하는 소액면세 제도를 운영했다. 하지만 트 2025-08-27 14:17:55
-
日, 美 요청대로 '760조' 투자 문서화…아카자와 경제재생상 美 방문 미·일 간 관세협상 타결 당시 합의했던 일본의 5500억 달러(약 760조원) 대미 투자에 대한 후속 합의가 조만간 열릴 예정인 가운데, 일본이 미국의 요구대로 투자 합의문 작성에 응할 것으로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 교도통신 등 일본 현지 언론은 26일, 대미 투자와 관련해 양국 정부가 내용을 설명하는 ‘공동 문서’를 작성하는 방향으로 조정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담당하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상이 이번 주 후반 미국을 방문해 세부 사항을 논의할 전망이 2025-08-27 14:10:03
-
美 엑슨모빌, 러 사업 재개 '비공개' 논의…서방 기업 러 시장 복귀 준비 미국의 주요 에너지 기업인 엑슨모빌이 러시아 사업 재개를 위해 비공개 논의를 가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서방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러시아 시장 복귀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보도에 따르면 엑슨모빌의 한 고위 임원은 최근 러시아 주요 국영 에너지 기업인 로스네프트와 종전에 진행하던 사할린 원유 및 가스 개발 프로젝트 재개를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의를 2025-08-27 13:44:49
-
[속보] 美, 예고대로 인도에 50% 관세 부과 시행 美, 예고대로 인도에 50% 관세 부과 시행 2025-08-27 13:06:18
-
러 제재 어렵다던 트럼프, '푸틴 진격'에 "경제 재재" 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 협상을 중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내심이 바닥나고 있다. 협상에 미온적인 러시아에 강력한 경제 제재가 있을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성 발언이 다시 나온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며 진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종전 합의가 없을 경우 러시아에 대해 강력한 경제 제재가 있을 것이라고 예 2025-08-27 11:26:26
-
美, 유치원 취학 1년 늦추는 '레드셔팅' 금지 놓고 학부모 갑론을박 미국 일부 지역에서 아이들이 발달이 느리다며 공립초등학교 내 유치원과정 취학을 1년 늦추는 이른바 ‘레드셔팅(redshirting)’이 수도 워싱턴DC에서는 사실상 금지됐다고 보스턴25 방송과 USA투데이 등 외신들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에서 유치원 교육이 의무화된 주에서는 일정한 기준일에 5세가 되는 어린이들이 공립초등학교의 유치원과정(킨더)으로 입학한다. 이후 1학년 과정을 거쳐, 주별로 4학년 또는 6학년까지 해당 초등학교에 재학하게 된다. 이 초등학교의 첫 걸음인 킨더 학년 입학 2025-08-27 11:00:59
-
트럼프, 인텔 이어 방산업체 지분도 노리나…美상무 "논의중" 반도체 기업 인텔의 지분 10%를 확보하기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방위산업 업체 지분 인수도 검토 중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 지분 확보 사례와 같은 일이 “매일 발생할 것”이라고 예고한 가운데 세계 최대 방산업체인 미국의 록히드마틴 지분 인수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방산(의 지분 확보 문제)에 관해 엄청난 논의가 있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진행자가 “미국 정부가 팔 2025-08-27 10:53:43
-
스타십 10차 시험 발사 성공...모의위성 배치까지 일론 머스크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 탐사용 초대형 발사체 스타십(Starship)의 10번째 시험 발사에서 처음으로 모의 위성 8기 배치에 성공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미국 텍사스주 스타베이스에서 이날 오후 7시 30분(한국시각 27일 오전 8시 30분) 스타십을 발사했다. 당초 24일과 25일 두 차례 10차 시험 발사를 시도했으나, 지상 시스템 문제와 악천후로 인해 26일로 발사가 미뤄졌다. 이날 발사에서 스타십은 8기의 모의 스타링크 위성 배치 시험을 했다. 발사 약 19분 후부 2025-08-27 10:31:00
-
[속보] 화성우주선 스타십, 10차 지구궤도 시험비행 '성공' 화성우주선 스타십, 10차 지구궤도 시험비행 '성공' 2025-08-27 09:43:23
-
'취업 준비' 한국인 3명 베트남서 감금…중국인 주도 납치극 전말 중국 국적 남성이 한국인 세 명을 '고수익 일자리'를 미끼로 베트남으로 유인한 뒤 억류하고 금품을 요구한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들은 해외 취업을 희망해 베트남에 입국했으나 범죄 조직에 의해 감금됐다. 26일(현지시각) 베트남 현지 매체 VnExpress에 따르면, 호치민시 공안 수사당국에 따르면 이번 사건과 관련해 뤄성화(중국 국적), 봉꽝뚜언(1984년생, 동나이성), 응우옌탄푹(1987년생, 껀터), 레반끼우(2000년생, 까마우성) 등 네 명이 불법 감금 혐의로 기소돼 구속됐다. 앞서 지난 19일 라이티에우 2025-08-27 09:34:03
-
애플, 내달 9일 아이폰17 시리즈 공개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내달 9일 자사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7 시리즈를 공개한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신제품 행사 일정을 확정하고 전 세계 미디어와 크리에이터 등에게 행사 일정을 담은 초대장을 발송했다. 행사는 애플 본사가 있는 미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 파크 내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시작된다. 지난해와 동일한 일정이다. 아이폰17 시리즈 기본 모델은 화면이 6.1인치에서 6.3인치로 커지고, 주사율(1초에 화면 갱신 횟수)이 2025-08-27 09:33:30
-
[속보]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 모형위성 배치 성공…상용화 '파란불'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 모형위성 배치 성공…상용화 '파란불' 2025-08-27 09:12:47
-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 연준 장악 시도 속 상승…S&P500 0.4%↑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장악 시도에도 불구하고 법적 대응과 연준의 독립성 유지 기대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2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5.60포인트(0.30%) 오른 4만5418.0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62포인트(0.41%) 뛴 6465.95, 나스닥종합지수는 94.98포인트(0.44%) 상승한 2만1544.27에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2025-08-27 08:30:09
-
러트닉 美 상무 "방위산업, 지분 확보 문제 논의 진행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방산업체의 지분확보를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6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미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미국 정부가 '우리는 (AI 방산기업) 팰런티어 서비스를 이용 중이니, 지분을 원한다, 보잉 서비스를 이용 중이니, 지분을 원한다'고 말하지 못할 이유가 있나. 적정선은 어디인가'라는 물음에 "방위산업(의 지분 확보 문제)에 관해 엄청난 논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록히드마틴은 매출 97%를 미국 정부에서 2025-08-27 06:04:02
-
고든 창 "이재명 반미주의자"라더니... 이번엔 한덕수 옹호 발언 美 극우 논객 고든 창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옹호하는 내용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게재해 논란이 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창은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에 "대한민국의 애국자들이여, 지금이 한덕수를 보호해야 할 때"라는 내용의 게시글을 게재했다. 해당 게시물은 현재까지 약 3200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 발언은 한 전 총리가 오는 27일 영장실질심사(구속전피의자심문)를 앞둔 상황에서 나왔다.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행위를 방조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바 있다. 2025-08-26 17:5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