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HR메디컬, 올인원 미니칫솔 '퀵클린' 올리브영 입점 HR메디컬은 5개 기능을 하나에 담은 올인원 미니 칫솔 '퀵클린'이 올리브영 온오프라인에 동시 입점했다고 2일 밝혔다. 퀵클린은 칫솔·캡슐형 구강세정제·혀 클리너·치실·이쑤시개 등 구강 관리를 위한 다섯 가지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일회용 제품이다. 물 없이도 사용할 수 있고 위생적인 개별 포장으로 제조해 여행이나 출장, 캠핑, 외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오는 4일까지 진행하는 '9월 올영세일' 기간엔 21%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HR메디 2025-09-02 07:34:16
-
142조 '접는 폰' 시대 활짝··· 삼성 질주 속 中 화웨이 추격전 폴더블폰 시장이 10년 내 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의 아성에 화웨이, 아너 등 중국 업체들이 잇따라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1일 코히런트 마켓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 규모는 올해 286억7000만 달러(약 39조9500억원)에서 2032년까지 1027억9000만 달러(약 143조2300억원)로 연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폴더블폰 판매량은 2000만대 수준에 그칠 전망이지만 주요 업체들이 신제품을 대거 내놓으면서 시장의 파이를 지속적으로 키우고 있다. 특히 중국 업 2025-09-02 05:00:00
-
우주청, 내년 예산 1조1131억원...'뉴스페이스 펀드' 1000억원 확대 우주항공청(우주청) 출범 3주년을 맞는 2026년도 예산안이 1조원을 넘는 규모로 편성됐다. 미래 우주항공 시대 초석을 다지겠다는 의도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놨다. 1일 우주청은 내년도 예산안을 1조1131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위성과 발사체, 탐사, 항공, 산업생태계, 인력양성 등 6대 분야에 걸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 출범 초기 2024년 7598억원보다 46%, 지난해 9649억원보다 15% 늘어난 규모다. 가장 크게 늘어난 분야는 민간 산업 생태계 지원이다. 특히 '뉴스페이스 펀드 2025-09-01 22:43:33
-
美·中 싸움에 등 터지는 K-반도체…한·중 공급망 단절 포석 분석도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반도체 공장에 대해 첨단 장비 반입을 금지하면서 미·중 간 '양자 택일' 압박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대만 TSMC는 이번 조치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미국이 장기적으로 한국과 중국 간 반도체 공급망 단절을 도모한다는 분석까지 제기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산업보안국(BIS) 관보를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위를 취소하기로 했다. VEU는 미국 정부가 사전 승인한 기 2025-09-01 19:58:47
-
'2025 도선사의날' 성료…조용화 도선사협회장 "대한민국을 해양강국으로" '2025년 도선사의 날' 행사가 1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홀에서 해운계 인사와 해양수산부 전현직 관료, 국회의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도선사의 날은 1937년 인천항에서 유항렬 도선사가 정식 개업한 이래 전국 12개의 지회에서 선박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도선해 온 대한민국 도선사의 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고 격려하기 위해 지난 2022년부터 기념해 왔다. 조용화 도선사협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도선사들은 대한민국 발전과 그 궤를 같이해 왔다"며 " 2025-09-01 18:35:32
-
완성차 5사, 내수 회복에 웃었다...8월, 62만6721대로 전년비 1.2% 증가 국내 완성차 5사의 8월 글로벌 판매량이 내수 회복에 힘입어 소폭 증가했다. 미국의 관세 여파로 수출 열기는 한풀 꺾였지만 하이브리드와 RV(레저용) 차량을 중심으로 한 인기는 이어지고 있다. 1일 현대차, 기아, GM 한국사업장,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 5사의 8월 판매량은 62만6721대로 전년동기대비 1.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판매량은 11만1135대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고, 같은 기간 해외 판매는 51만5586대로 0.4% 늘었다. 미국 관세 여파에도 5사의 판매실적은 4월 2025-09-01 18:34:16
-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 에릭 트럼프 만나 파트너십 논의 '인공지능(AI) 중심 사업지주회사'로 진화를 추진 중인 SK네트웍스가 글로벌 네트웍을 바탕으로 한 협력강화 및 사업 확대에 속도를 붙이고 있는 가운데 AI 및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 관련 사업을 주도해 온 최성환 사업총괄 사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를 만나 파트너십 방안에 관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SNS 채널에 에릭 트럼프와 저녁식사를 했다며 함께 찍은 사진을 게시했다. 에릭 트럼프가 29일 홍콩에서 열린 ' 2025-09-01 18:01:55
-
'이립' 맞은 BBQ…윤홍근 "80억 인류 건강·행복 이끌겠다" 윤홍근 제너시스BBQ그룹 회장은 1일 "앞으로 30년, 100년, 그리고 1000년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BBQ는 인류 건강과 행복을 책임지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이날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리조트에서 열린 BBQ 30주년 기념식에서 "30년의 역사를 넘어서는 가슴 뛰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1995년 9월 1일 BBQ 창업 이후 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코로나19 등 큰 위기 속에서도 30년간 성장할 수 있던 원동력으로 임직원·가맹점주를 2025-09-01 17:36:44
-
중기부, 예비유니콘 15개사 선정...최대 200억원 특별보증 중소벤처기업부가 예비 유니콘 특별보증 사업을 통해 혁신 기술을 보유한 15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최대 200억원까지 보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79개사가 신청해 5.3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들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233억원, 고용인원 74명, 투자유치금액 352억원, 기업가치는 1134억원으로 각각 확인됐다. 올해부터는 '성과연동 보증제도'를 도입해 '후속 투자', '매출' 등에서 일정 성과를 달성하 2025-09-01 17:28:25
-
현대차, 8월 판매량 33만6395대...전년비 0.4% 증가 현대자동차는 8월 국내 5만8330대, 해외 27만8065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33만6395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0.4%, 해외 판매는 0.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국내 시장에서 세단은 그랜저 5139대, 쏘나타 3527대, 아반떼 7655대 등 총 1만6551대를 팔았다. 레저용(RV)은 팰리세이드 5232대, 싼타페 3303대, 투싼 3873대, 코나 3013대, 캐스퍼 1247대 등 총 2만1272대가 판매됐다. 포터는 5547대, 스타리아는 3246대 판매를 2025-09-01 17:17:25
-
티맵모빌리티, 민관연 통합형 모빌리티 연합체 '누마' 참여 티맵모빌리티는 민관연 통합형 모빌리티 얼라이언스(이동수단 연합체) 'NUMA(누마)'에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티맵모빌리티 외에도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 학계, 연구기관 등이 이름을 올렸다. 교통 분야 사회적 과제해결과 지속 가능한 스마트시티 전환을 목표로 한다. 4대 전략으론 △교통격차 해소 △이동안전 강화 △도시 데이터 연결 △모빌리티 산업 성장 등을 제시했다.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자율주행 신뢰성 확보, 공공·민간 데이터 표준화, 신사업 발굴과 글로벌 확산을 아우른다 2025-09-01 16:56:47
-
GM한국사업장, 8월 판매량 2만1059대...전년비 35% 증가 GM 한국사업장은 8월 내수 1207대, 수출 1만9852대로 총 2만1059대(완성차 기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34.7% 늘어난 수치로, 두 달 연속 판매 증가세를 보였다. 해외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1.6% 늘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가 전년 동월 대비 56.5% 늘어난 1만5693대를 기록했고, 같은기간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는 4.2% 늘어난 4159대가 판매됐다. 국내 판매량은 1207대로 지난해 8월 보다 25.2% 감소했다. 전체 판매량 가운데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993 2025-09-01 16:49:13
-
르노코리아, 8월 판매량 6457대...전년비 24% 감소 르노코리아는 8월 내수 판매량 3868대, 수출 판매량 2589대로 총 6457대의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23.6% 줄어든 수치다. 내수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186.5% 증가했다.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로 지난달 2903대가 판매됐다. 전체 그랑 콜레오스 판매량의 88%에 달하는 2544대는 직병렬 듀얼 모터 구동 시스템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E-Tech 모델로 나타났다. 이어 쿠페형 SUV '아르카나' 451대, 스테디셀러 SUV 'QM6' 384대, 중형 세단 2025-09-01 16:39:05
-
무신사, 2분기 호실적 업고 몸집 더 키운다 무신사가 오프라인 매장 확장과 중국을 필두로 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무신사는 이같은 전략으로 외형 성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올해 2분기 매출·영업이익·순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매출은 3777억원, 영업이익은 41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0.7%, 22.6%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408억원으로 462.8% 급증했다. 상반기 누적 실적 역시 성장세를 유지했다. 매출은 6705 2025-09-01 16:30:00
-
기아, 8월 판매량 25만3950대...전년비 0.8% 증가 기아는 지난 8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3501대, 해외 20만9887대, 특수 562대 등 총 25만3950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7.4% 증가, 해외는 0.4% 감소한 수치다. 전체 판매량은 0.8% 늘었다. 글로벌 시장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4969대로 가장 많았고, 셀토스가 2만7805대, 쏘렌토가 1만8466대로 뒤를 이었다. 지난달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6531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3484대, K5 3238대, K8 1976대 등 총 1만2045대가 판매됐다. 레저용(R 2025-09-01 16:18:24
-
SK하이닉스 노사, 영업익 10% 성과급 지급 잠정합의… 성과급 상한도 폐지 SK하이닉스 노사가 기본급의 최대 1000%를 한도로 하는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선 기준 폐지와 영업이익의 10%를 모두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내용이 담긴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생산직) 노조는 이날 오전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임금교섭 잠정합의안'을 마련하고, 오후 이천과 청주캠퍼스에서 구성원에게 관련해 설명했다. 이번 합의안에는 기존 PS 지급 한도(최대 1000%)를 폐지하고, 매년 영업이익의 10% 전체를 재원으로 삼아 PS 산정 금액의 80%는 당해 2025-09-01 16:04:09
-
kt 지니뮤직, 대화형 AI 음악 서비스 'AI DJ' 출시 KT 지니뮤직이 음악 플랫폼 ‘지니’를 전면 개편한 ‘지니 6.0’을 출시하고, 국내 음악 플랫폼 최초로 대화형 AI 음악 서비스 ‘AI DJ’ 베타버전을 1일 공개했다. AI DJ는 이용자가 AI와 대화를 통해 상황, 감정, 분위기에 맞는 플레이리스트를 추천받고 바로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다. KT 지니뮤직이 자체 개발한 멀티 에이전트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오픈AI 기반 LLM을 결합해 구현됐으며, 음원 분석·추천 기술은 현재 특허 출원 중이다. 이용자는 AI DJ와 텍스트&midd 2025-09-01 16:02:24
-
트럼프 관세 독주...미국 통상정책의 '뉴 노멀' 미국 연방순회항소법원이 국제비상경제수권법(IEEPA)에 근거한 관세조치가 위법하다는 판결을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행정부 관세조치에 대한 미국 의회 입법과 사법적 판단을 통한 견제는 제한적이며 미국의 자국중심적 통상조치가 정권에 관계없이 구조적으로 강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트럼프 행정부 통상조치에 대한 미국 입법·사법적 견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1기의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더해 2기에 더 빠르고 강한 조치에 나 2025-09-01 15:5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