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싸움에 등 터지는 K-반도체…한·중 공급망 단절 포석 분석도

  • 美, 삼성·SK하닉 '검증된 최종 사용자' 지위 취소

  • 대만 TSMC는 유지… '韓, 中 시장서 손 떼라' 해석

중국 시안의 삼성 반도체 공장 사진연합뉴스
중국 시안의 삼성 반도체 공장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반도체 공장에 대해 첨단 장비 반입을 금지하면서 미·중 간 '양자 택일' 압박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대만 TSMC는 이번 조치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미국이 장기적으로 한국과 중국 간 반도체 공급망 단절을 도모한다는 분석까지 제기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산업보안국(BIS) 관보를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위를 취소하기로 했다.

VEU는 미국 정부가 사전 승인한 기업에 주는 특례다. 미국은 2022년 대중 반도체 장비 제재를 시작했으나 VEU를 받은 기업들은 일부 최첨단을 제외한 장비를 중국에 반입할 수 있었다. 한국 외에 미국·대만 기업들도 해당됐다.

눈길을 끄는 것은 이번 VEU 취소가 한국 기업에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대만·미국 기업은 해당되지 않는다. 대만 TSMC는 지난 3월 사업보고서에서 "중국 난징 팹은 영구적 VEU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100나노미터(㎚) 이상 구형 공정인 상하이 공장뿐 아니라 16 및 28㎚ 반도체를 생산하는 난징 팹도 미국이 막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국 기업 AMD·AMAT·램리서치의 중국 내 연구개발(R&D) 및 유지·보수 센터에 부여한 VEU 지위도 유지됐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중국에서 삼성전자는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인텔에서 인수한 다롄 낸드플래시 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시안에서 전체 낸드플래시 중 30~40%를 생산하며, SK하이닉스는 우시에서 D램 40%를 출하한다. 투자 금액만 해도 삼성전자 30조원, SK하이닉스 20조원 등 최소 50조원에 달한다. 그간 첨단 D램이나 3D 낸드 제조 장비 이외 장비는 반입할 수 있었으나 이제 그마저도 막히는 것이다.

특히 SK하이닉스는 다롄 공장을 포함한 인텔의 낸드사업부를 인수하며 지난 3월 인수 금액을 모두 납입한 뒤 장비 반입이 제한되면서 피해가 더 클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한국과 중국 간 반도체 디커플링을 종용하고 있다며 이른바 '트럼프 리스크'에 시달리는 반도체 업계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트럼프 행정부가 노리는 것은 미국 중심의 글로벌 반도체 질서 재편"이라며 "정부와 반도체 업계가 힘을 합쳐 미국의 공급망 재편에 최대한 선제 대응하는 전략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