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창청車, EV '오라' 예약판매 재개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 창청자동차(長城汽車, GWM) 타일랜드는 1일, 전기차(EV) 오라(欧拉) 굿캣’의 예약판매를 조만간 재개한다고 밝혔다. 상세한 사항은 밝히지 않았으며, 이달 9일 오후 7시에 페이스북, 유튜브, 틱톡의 각 라이브스트리밍을 통해 발표한다. 창청자동차 타일랜드에 따르면, 오라 굿캣은 2021년 10월 태국에서 판매가 개시됐으며, 지금까지 총 4788대가 납차됐다. 창청자동차의 공급능력을 웃 2023-02-03 18:07
-
[NNA] 필리핀 메트로마닐라, 역내 교통법규 일원화 나서 필리핀의 메트로마닐라위원회(MMC)는 1일, 메트로마닐라의 교통위반에 관한 벌칙 등을 일원화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3월 15일까지 역내 17지역의 교통위반 벌칙규정 등을 통일한다. 규제당국과 차량운전자 모두의 편의가 향상되고, 교통과 관련된 정책시행이 더욱 투명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법규 일원화 작업은 마닐라수도개발청(MMDA), 메트로마닐라 내 지자체 교통국, 육운국(LTO) 등 3자의 합의에 따라 추진된다. 각 지자체 간 서로 다른 벌칙조항을 하나로 통일해 시민들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법규 2023-02-03 17:12
-
[NNA] 말레이시아항공, 日 골든 위크 계기 임시편 투입 말레이시아항공은 2일, 일본의 골든 위크에 맞춰 4월 29일과 5월 3일에 나리타(成田)-사바주 코타키나발루 노선에 임시편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양일의 운항 스케줄은 MH080편이 오전 0시 50분에 코타키나발루를 출발하며, MH081편이 오전 9시 30분에 나리타를 출발한다. 항공기는 보잉 B737-800이 투입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수습과 항공수요 확대에 따라 말레이시아항공은 지난해 12월 동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2023-02-03 16:35
-
[NNA] 우아한형제들, 서빙 로봇 사업 자회사 설립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1일, 서빙 로봇 사업을 분사해 100% 자회사인 비로보틱스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서빙 로봇 사업 분사화를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시장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 중장기적으로는 로봇 및 관련부품 국산화를 추진해 수출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올 상반기 중에는 음식점 호출 벨과 로봇을 연동해 서빙과 퇴식기능을 향상시킨 제품을 선보이며, 또한 음식점 외에 ◇스크린골프장 ◇PC방 ◇당구장 등에도 서빙 로봇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1300대 이상을 2023-02-03 16:04
-
[NNA] 캄보디아 정미수출, 2025년까지 100만톤 목표 캄보디아 쌀 연맹(CRF)은 2025년까지 연간 100만톤의 정미를 수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2일 전했다. 찬 속헹 CRF 회장이 이 같이 밝혔다. 올해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75만톤 수출을 달성하고, 2025년까지 100만톤 수출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정미 수출량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63만 7004톤, 수출액은 4억 1400만 달러(약 534억 엔). 출하국은 59개국・지역. 최대 수출대상국은 중국이다. 2023-02-03 15:13
-
[NNA] 방글라데시 다카메트로, 두 번째 노선 착공 지난해 12월 개통된 방글라데시의 첫 도시철도(메트로) 다카메트로의 1호선이 2일 착공됐다. 착공은 6호선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건설작업을 지원하는 일본국제협력기금에 따르면, 이날 착공식이 열렸으며, 행사장에는 방글라데시 총리와 건설・운행주체인 다케도시교통회사, 일본대사관, JICA의 관계자 등이 참가했다. 1호선은 하즈라트 샤흐잘랄 국제공항 및 동부 신흥주택지, 그리고 방글라데시 최대 철도역인 카말라푸르 등의 구간에 19개 역(전장 31km)이 들어설 예정이다. 사업비는 약 7362억 엔이며, 이 중 70%가 엔 차관이 2023-02-03 14:27
-
[NNA] 印尼 샌재생에너지 올해 발전용량, 3%↑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는 2일, 신재생에너지의 올해 발전용량이 전년보다 3% 증가한 1만 2925MW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태양광발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발전용량의 내역은 수력발전이 6852.2MW로 최대. 태양광발전은 432.6MW로 풍력이나 지열보다 규모는 작지만, 전년보다 가동률은 60%로 최대가 될 전망이다. 인프라 정비의 일환으로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3만 1075 2023-02-03 13:35
-
[NNA] 그레이터베이항공, 두 도시로 향하는 항공권 할인판매 홍콩의 신흥항공사 그레이터베이항공(大湾区航空)은 1일부터 홍콩 출도착의 2개 도시 왕복항공권 할인판매 캠페인을 개시했다. 가격은 3000HK달러(약 4만 9000엔)이며, 이달 14일까지 실시된다. 동 항공사 홈페이지에 따르면, 목적지는 그레이터베이항공이 취항하고 있는 도시 중 조합이 가능하며, (1)홍콩-도쿄와 홍콩-방콕 (2)홍콩-도쿄와 홍콩-타이베이 (3)홍콩-서울과 홍콩-방콕 (4) 홍콩-서울과 홍콩-타이베이 등 4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출발 항공권의 유효기간은 2월 1일~6월 30일이며, 귀국 항공권은 7월 13일까지. 2023-02-03 12:44
-
[NNA] J-MAX, 中 광저우 공장에 프레스 라인 신설 자동차용 프레스 부품 등을 제조하는 일본의 J-MAX는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에 위치한 연결자회사의 기존 공장에 새로운 프레스 라인을 도입한다. ‘신 에너지 차(NEV)’ 부품 수주확대를 위해 특수강재와 대형부품에 대응 가능한 라인을 설치한다. 투자액은 약 1억 위안(약 19억 엔). 신규 라인은 프레스기 5대를 설치한 오토 텐덤 프레스 라인으로, 통상의 철보다 강하고 가벼운 특수강재를 사용한 부품과 기존 라인에서는 제조할 수 없는 대형 부품에 대응할 수 있다. 신규 라인에서 생산하는 NEV용 부품은 차량전지 제조 2023-02-03 11:38
-
[NNA] 피치항공, 타오위안-추부 노선 3월 말 취항 저비용항공사(LCC) 피치항공은 1일 대만 타이베이(台北) 시내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만 타오위안(桃園)국제공항과 일본 추부(中部)국제공항 간 노선에 3월 27~28일 취항한다고 밝혔다. 가오슝(高雄)국제공항과 칸사이(関西)국제공항 노선도 8월 1일부터 운항을 재개한다. 대만-일본 노선은 현재 운휴중인 노선을 제외하면 6개 노선이 된다. 타오위안-추부노선은 주 7왕복 운항된다. 타오위안발은 3월 28일에 운항이 개시되며, 매일 오전 2시 25분 출발, 오전 6시 30분 도착하며, 추부발은 27일부터 운항하며, 매일 오후 11시 15분 2023-02-02 19:29
-
[NNA] 다이킨, 태국시장에 신제품 투입… 순이익 15% 확대 목표 다이킨공업그룹의 에어컨을 태국에서 판매하는 사이암 다이킨 세일즈는 여름을 앞두고, 벽걸이식 에어컨 신제품 3종을 발표했다. 올해는 지난해 이상으로 홍보활동을 강화해 전년도 대비 15%의 순이익 증가를 목표로 한다. 신제품은 ‘쿨 맥스 인버터(FTKQ-X)’, ‘스마일 맥스 인버터(FTKF-X)’, ‘울트라 맥스 인버터(FTXU-XV)’ 등 3종. 모두 기존 인버터 기능을 더욱 강화한 맥스 인버터를 탑재해 기동 후 신속하게 냉풍을 보내는 파워풀 모드와 냉각 코일의 자동세척 ‘셀프 하이진 부스터&r 2023-02-02 19:02
-
[NNA] ICTSI, 印尼 하역작업 종료 필리핀 항만운영회사 인터내셔널 컨테이너 터미널 서비시즈(ICTSI)는 1월 31일, 인도네시아 산하기업이 마카사르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역계약을 이날자로 종료했다고 밝혔다. 산하기업 마카사르 터미널 서비시즈(MTS)가 항구를 운영사와 계약을 갱신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당초 계약기간은 2013년 9월 말까지였으나, 2023년 1월 31일까지 계약이 연장됐었다. ICTSI는 2006년 5월, 싱가포르의 자회사 ICTSI 파이스트를 통해 MTS를 인수했다. MTS는 컨테이너 하역기계의 조달・도입・운용에 관한 계약을 항구 운영사와 계약했다. 2023-02-02 18:20
-
[NNA] 쿠데타 2년 맞아 방콕에서 수백 명 집회 미얀마에서 군부에 의한 쿠데타가 발발한지 만 2년이 되는 1일, 태국 수도 방콕에서 수많은 미얀마인들이 항의집회를 열었다. 집회가 개최된 미얀마대사관 부근에는 오전부터 수백 명의 젊은이들이 몰려들었으며, 민주파 지지와 군부를 비난하는 목소리로 가득했다. 집회 주최자는 성명을 통해, 군부 쿠데타 발발 이후 지난 2년간을 ‘상처받은 역사’라고 규정하며, “(민주파에) 찬동하는 태국 사람들의 협조로 국제사회가 자유와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직시하면, 독재정권을 타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 2023-02-02 17:15
-
[NNA] SK하이닉스, 4Q 1800억 엔 영업적자 SK하이닉스는 1일, 지난해 4분기 연결영업손실 1조7012억 원(약 1800억 엔)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PC, 스마트폰용 반도체 수요 감소에 따라 분기 기준으로 10년 만에 적자로 전환됐다. 4분기 영업적자는 연합인포맥스 시장예측치인 1조 3735억 원을 24% 웃도는 수준. 매출액은 7조6986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8% 감소, 최종손익은 3조5235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 투자축소 및 감산도 추진하나 이번 결과에 대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메모리 반도체 수요감소와 그에 따른 제품가격 급락이 주요 원인&rdquo 2023-02-02 16:42
-
[NNA] 캄보디아 부패인식지수 150위… 전년보다 다소 상승 국제적, 국가적 부패감시 비정부조직(NGO)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22년 부패인식지수(CPI)’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조사대상인 180개국・지역 중 150위를 기록, 전년의 157위에서 순위가 상승했다. 동 조사는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 등의 데이터에 따라 각국・지역의 부패인식도를 100점 만점으로 지수화한 것. 수치가 높을수록 청렴함을 의미한다. 캄보디아의 2022년 CPI는 24점으로, 2018년의 20점, 전년의 23점보다 다소 상승. 다만 동남아시아 최하위인 미얀마(23점)보다 1점 높은 수준이다. 역내 최고인 2023-02-02 16:15
-
[NNA] 印 주별 인플레이션율, 이번 연도 텔랑가나주가 최대 인도 재무부는 1월 31일 발표한 ‘경제백서(이코노믹 서베이)’를 통해 2022/23년도(2022년 4월~2023년 3월) 주・연방직할지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텔랑가나주가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년도보다 약 2%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서뱅골주, 하리야나주, 마디아프라데시주 등도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했다. 경제백서는 연료와 의류가격 급등이 높은 인플레이션율의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2022/23년도의 수치는 2022년 4~12월의 평균, 2021/22년도는 2021년 6월~2022년 3월의 평균. 인구 500만명이 넘는 2023-02-02 15:33
-
[NNA] 印尼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1250만kW… 총 전원의 14% 아리핀 타스리프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장관은 1월 30일,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1250만kW에 달했다고 밝혔다. 전원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4.11%. 아리핀 장관은 에너지광물자원부의 지난해 실적과 올해 사업계획을 보고했다.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총 발전용량은 2022년 말 기준으로 8120만kW이며, 올해 말에는 8510만kW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2년 말 기준 전력화율은 99.63%로, 99.76%의 촌락에 전기가 공급됐다. 연내 전력화율 100% 달성 목표를 위해 동부지역 벽지의 전력화에 주력한다는 2023-02-02 14:44
-
[NNA] 베트남 티지오디동, 지난해 상장 후 첫 순이익 감소 베트남의 디지털기기 판매기업 티지오디동(Thegioididong, 모바일 월드 인베스트먼트, MWG)은 2022년 매출액이 전년 대비 9% 증가한 134조 7220억 동(57억 5000만 달러, 약 7490억 엔), 순이익이 16% 감소한 4조 1000억 동을 기록했다는 연결실적을 발표했다. 2014년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상장 이후 순이익이 감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월 31일자 다우투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MWG의 보고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불안정한 정치・경제정세가 사업환경 및 근로자의 수입, 소비동향에 악영향을 미쳐, 10월 이후 휴대전화, 가전의 2023-02-02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