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포인트 회계 처리 방식을 두고 정치권과 금융당국이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선포인트도 채권이므로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금융감독당국은 이를 마케팅 수단으로보고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다고 반박하고 있다.
2일 정치권 및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고객에게 선포인트를 지급하면 회계상 이를 전액 마케팅 비용으로 처리하고 있다.
선포인트제는 카드사가 미리 상품 가격 일부를 할인해주고 고객이 포인트를 적립해서 할부 방식으로 이를 갚아나가는 방식이다.
정치권에서는 선포인트가 엄연히 카드사의 고객을 상대로 한 채권이므로 여신 분류 등급에 맞게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금융당국이 지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선포인트 지급액은 자산으로 기록하고 대신 고객이 갚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적절한 수준의 충당금을 쌓아놓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일반 포인트는 충당금을 쌓고 있는데 선지급된 포인트만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선지급이든 후지급이든 포인트 성격은 동일하므로 회계 기준도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현행 회계 처리 방식이 선포인트 과당 경쟁을 유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회계상 선포인트는 이미 카드사가 마케팅 활동으로 지불해버린 것으로 기록된다. 이 때문에 카드사가 되돌려 받아야 할 돈이라는 부담을 느끼지 못하고 선포인트를 남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성헌(한나라당) 의원실 박철호 보좌관은 "현재 회계 기준에 따르면 선포인트는 카드사가 고객에게 받아야 할 채권이 아니다"며 "카드사들이 빚을 내주면서 장부에는 비용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선포인트 과당 경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박 보좌관은 "카드사가 선포인트를 남발하면서 선포인트를 결국 현금으로 갚는 고객이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헌 의원실에 따르면 선포인트로 할인 혜택을 받았지만 적립 포인트가 부족해 현금으로 상환한 금액은 2007년 353억원에서 지난해 1290억원으로 급증했다. 올 상반기에는 지난해 한 해 동안의 상환액에 육박하는 1050억원이 선포인트 현금 상환액으로 지불됐다.
금융당국은 선포인트를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회계처리기준에도 맞고, 더 보수적인 기준이라는 입장이다. 기본적으로 금융당국은 선포인트가 회원을 모집하고 집중적인 자사 카드의 사용을 유도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채권이 아닌 마케팅 수단이라고 보고 있다.
이태기 금융감독원 기업회계1팀 선임조사역은 "2006년에 선포인트에 관한 실무의견서를 만들면서 학계와 회계법인에 자문을 구했는데 선포인트를 자산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다수였다"며 "광고 선전비의 일종으로 볼 경우 선포인트를 통해 창출되는 수익을 정확하게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재무회계기준에 따라 비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김영기 금융감독원 여신전문총괄팀장은 "충당금 100% 적립이 비용 처리와 같기 때문에 현재 기준이 훨씬 더 보수적이고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며 "정치권 주장대로 회계 처리를 바꾸면 고객이 선포인트를 상환하지 못할 경우 자산이 과다 계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고득관 기자 dk@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