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소기업 혁신역량 이대론 안된다

‘히든챔피언’이란 세계 시장 최고의 점유율을 가졌으나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중소기업을 뜻하는 용어다.

독일은 이 같은 히든챔피언이 무려 500여 곳이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과거 100년 이상을 독일 경제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고 높은 고용창출도 이로써 일궈냈다.

전통적으로 숙련도를 바탕으로 가업승계를 이어온 마이스터(장인) 제도의 힘도 컸지만 정부의 중소기업 장려정책도 오래전부터 꾸준히 있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제가 불투명할수록 독일은 경제의 버팀목인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제 전반의 경쟁력을 높인다. 이로써 지속적 성장을 이루겠다는 것.

지난해 미국에서 불어온 금융위기에도 독일 정부는 2010년까지 미국을 추월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이 높고 역동적인 지식기반 사회로 구축한다는 리스본 어젠다에 따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첨단기술전략과 혁신역량 지원시책, 혁신성장 이행시책, 경제혁신 장려시책이 바로 그것이다.

금융위기가 어느덧 1년이 지난 가운데 최근 독일이 가장 먼저 불황에서 벗어나는 유럽 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되는 점이다.

한편 최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우리나라 1021개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역량 종합평가 결과가 평균 53.1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계성과, 경험, 수준, 성과 등 4개 영역별 평가 중 혁신경험 면에선 25.3점을 받았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활동이 혁신경험 면에서 매우 미흡함을 보여주는 결과다.

중소기업 자체의 혁신역량, 즉 중소기업의 경영구조는 정부의 지원 정책과 연계돼야 한다. 부족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대신해서다.

우리나라도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강력하고 다양한 메뉴가 있다. 독일 정책과 비교우위 문제는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지금과 같은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살포식 배분은 안된다. 정부의 선택과 집중에 뒤따른 양질의 지원 서비스가 바람직할 것이다.

정책의 효과성이 강조되는 최근 흐름에 비춰볼 때 중소기업 정책의 특성은 존중하되 목적은 뚜렷하게 전략엔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불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원동력으로서의 튼튼한 중소기업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점임을 기억하자.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