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전국 16개 특∙광역시 중에서 경기도가 8734만2000t(14.9%)으로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으며, 이어 전남 73,06만7000t(12.4%), 경북 64,81만4000t(11%) 순으로 집계됐다.
22일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최초로 전국 지자체 단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해 248개 지자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발표했다.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저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시스템(GHG-CAPSS)은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SEMS)의 사업장별 활동자료와 통계청, 지자체 등 210개 유관기관의 활동자료(연료, 원료사용량 및 제품생산량 등), 배출계수를 적용해 배출량 산정한 것이다.
동 시스템에 따르면 ’06년 우리나라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CO2)은 5억8801만1000t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보면 산업이 2억9446만7000t로 절반 이상(50.1%)을 차지했다. 또 수송 1억325만5000t(17.6%), 가정 7420만9000t(12.6%), 상업∙공공 7430만9000t(12.6%), 농업 1451만6000t(2.5%), 폐기물 15,35만8000t(2.6%) 순으로 산정됐다.
![]() |
||
◆ 우리나라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2006) |
광역자치단체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경기 8734만2000t(14.9%), 전남 7306만7000t(12.4%), 경북 6481만4000t(11%)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배출량이 많은 것은 안산 및 시화공단 등 중소형 산업단지와 신도시의 인구가 밀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면 제주는 463만7000t으로 배출량이 가장 적었고, 광주와 대전도 각각 785만4000t과 976만2000t으로 다른 시도에 비해 적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전남 광양시가 3646만3000t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경북 포항시 남구와 울산 남구가 각각 3329만t과 2526만3000t으로 뒤를 이었다.
산업부문은 철강산업으로 유ㆍ무연탄 소비가 많은 전남 광양시와 경북 포항시 남구의 배출량이 많았다. 석유정제업과 화학기업이 많은 울산 남구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수송부문은 대형 항만시설이 있어 벙커-C유 소비가 많은 울산 울주군(427만8000t), 부산 남구(267만7000t), 김포공항이 있는 서울 강서구(178만2000t)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부문에서는 주거지역의 난방과 취사용 연료인 LNG와 프로판가스 사용량이 많은 충남 천안시(95만t)가, 상업ㆍ공공부문에서는 대형빌딩이 밀집해 전기 사용량이 많은 서울 강남구(2309만t)가 각각 가장 많았다.
환경과학원은 또 고효율 시설투자 및 기기교체 등을 위한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 가정이나 직장에서 손쉽게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녹색생활실천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양도 분석∙발표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가 일상생활에서 녹색생활실천으로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양은 총 2560만CO2t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산업부문 총 감축잠재량(7350만CO2t)의 34.8%에 해당되는 수준이다. 또 '20년 비산업부문 배출전망치(BAU) 대비 9.4%에 달한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산업부문에 온실가스 감축부담을 덜어주면서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도 가능함을 보여 준 것”이라며 “녹색생활실천이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비용효율적인 핵심 감축수단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녹색생활실천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는 냉난방 시간 줄이기, 냉난방 온도 조절하기, 조명시간 줄이기, TV 및 컴퓨터 사용시간 줄이기, 공회전 금지, 급출발 자제 및 경제속도 준수 등이 있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