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세종시 해결을 위한 3월 임시국회 개최 여부를 두고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민주당ㆍ자유선진당ㆍ민주노동당ㆍ창조한국당ㆍ진보신당 그리고 무소속 유성엽 의원등 114명의 국회의원은 지난달 26일 3월 임시국회 요구서를 제출했다.
민주당 우윤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명박 정권이 3월 초중순에 세종시 수정안을 제출할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국회 차원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야5당이 인식을 같이 했다"며 "세종시 논란을 3월 임시국회에서 종결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야권의 임시국회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3월 임시국회가 야권의 한나라당 '공격수단'이 된다는 것.
안상수 원내대표는 2일 의원총회에서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세종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임시국회를 연다고 하지만 다른 의도가 보인다"며 "임시국회 소집 요구에 응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안 원내대표는 "세종시 법은 정부에서 이달 중순에 오기 때문에 지금 여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신성범 원내 대변인도 "3월 임시국회 참가 여부는 최고위원회의 등을 해봐야 알지만 현재로선 부정적"이라며 "당 지도부의 입장은 세종시 특례법 처리를 위한 3월 임시국회에는 참가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민주당과 야당은 한나라당의 조속한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세종시 문제로 인한 국론분열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 논의를 통한 결론 창출이 상책이라는 것이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세종시 문제를 조기에 마무리 짓기 위해 3월 임시국회소집을 요구했다"며 "한나라당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압박했다.
국회법상 임시국회는 국회 재적의원 4분의 1 이상의 요구로 소집되기 때문에 야당만으로도 3월 임시국회를 열 수는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여당이 임시국회 일정에 반대하고 있다면 3월 임시국회는 열리기만 한채 공전할 전망이다.
아주경제= 팽재용 기자 paengm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