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에셋투자자문이 2일부터 영업을 개시한다.
주식시장의 등락에 상관없이 고객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한다는 의미를 담은 세이프에셋투자자문은 거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연 12% 수준의 절대수익률을 추구하는 상품을 주력 운용할 예정이다.
송권표·김성기 공동대표는 자산운용사에서 주식 및 파생상품을 운용하던 펀드매니저 출신이다.
이들 두 공동대표는 향후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고 기대수익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절대수익률을 추구하는 상품을 투자자에게 판매함으로써 투자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고 밝혔다.
송권표 공동대표는 1세대 금융공학 펀드매니저로서 2000년대 중반까지 대한투자신탁운용(현 하나UBS자산운용)에서 인덱스펀드, CD플러스알파, CPPI펀드 등 파생펀드를 운용했고, 선물·옵션시장이 개설되던 1995년 이후 파생상품시장에서 15년 넘게 연평균 15% 이상의 꾸준한 수익을 올리고 있는 '절대수익률 추구의 강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김성기 공동대표는 신한BNP자산운용(구SH자산운용) 주식본부장 출신으로 한리버캐피탈 싱가폴 대표, 한리버 투자자문 대표를 역임하며 연12%의 절대수익률을 추구하는 헤지펀드 운용 스타일의 선두 주자로 알려졌다.
세이프에셋의 핵심 운용전략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파생상품운용에 따른 리스크를 투자 비중 조절을 통해 안전자산으로 성격을 바꾸다는 것. 옵션의 투자전략은 콜/풋 레이쇼 전략, 버터플라이 매수/매도, 콘돌 전략 등 다양한 전략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방침이다.
또한 헤지펀드 운용스타일인 포지션 테이킹(롱/숏 포지션을 동시에 보유하여 양방향에서 플러스알파 수익률 달성)과 페어트레이딩(동일 산업내에서 두 종목을 각각 매수, 매도하여 변동성 통제와 안정수익 추구)운용기법을 병행하게 된다.
송권표 대표는 "본 자문사 상품의 핵심은 파생상품을 통한 절대수익 추구로 일반 펀드나 주식 상품 대비 훨씬 안정적인 투자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다"면서 "금융공학 운용 노하우를 통한 꾸준한 수익률로 자산운용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아주경제=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