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부터 7월 전당대회에서의 민주당 정세균(丁世均) 대표와 정동영(鄭東泳) 의원의 물밑경쟁이 시작됐다. 전초전 격인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 대표와 정 의원을 양대 축으로 한 주류와 비주류간 전운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정 대표 등 주류측은 시민이 실제로 공천권을 행사하는 '시민공천배심원제' 도입을 전면에 내세워 당내 주도권 강화에 나서고 있다. 비주류 쪽도 정동영계 인사들에 대한 측면지원에 나서며 맞불을 놓고 있다.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이 정 대표-정 의원간 대리전 양상을 빚는 가운데 현 판세로는 정 의원과 가까운 인사들이 상대적으로 열세에 놓여 있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이에 따라 정 의원은 최근 대외활동 폭을 넓히며 영향력 복원에 나서며 세를 불리고 있다.
정 의원은 오는 9일 미국 LA 지부 창립총회에 맞춰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지난 1일 지지조직인 한민족경제비전연구소 전북지부를 발족한데 이어서다. 또 이달 말엔 손학규 전 대표와의 회동도 계획돼 있다. 정 의원은 지난달 복당 직후부터 손 전 대표의 당 조기 복귀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이런 가운데 정 의원이 김완주 전북지사와 정균환 전 의원, 유종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간에 벌어지는 전북지사 경선을 놓고 유 교수를 지원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이에 대해 정 의원측은 "공개적으로 누구 편에 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일축했다.
전북은 민주당의 텃밭이자 정 대표, 정 의원의 지역적 기반이어서 양측간 샅바싸움이 어느 곳보다 치열할 수밖에 없다. 다만 정 대표는 전체 선거를 관리하는 입장이다. 지원 후보에 대한 언급을 자제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공천 방식을 둘러싼 신경전도 갈수록 격해지고 있다.
실제 2일 의원총회에서도 장세환 의원 등 일부 의원은 주류측이 광주시장 등 호남 지역에서 공천배심원제 전면 도입에 드라이브를 거는데 대해 "주류측 입지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는 후문이다.
비주류측은 386이 주축인 주류측 인사들이 공천심사위와 지방선거기획본부 등에 대거 배치된 것을 두고도 "특정계파가 선거를 좌지우지하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주류측은 백의종군을 복당 일성으로 밝힌 정 의원이 세불리기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민공천배심원제에 대한 비주류측의 부정적 시선에 대해 반개혁적 처사로 몰아가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