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모바일 경쟁력 강화 위해 7600억 투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3-19 09: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삼성전자 등 휴대전화 3사 올해 R&D 3조1600억 투자

우리나라가 올해부터 5년 간 글로벌 모바일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연구·개발(R&D) 및 인프라 확충에 총 76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한다.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국내 휴대전화 3사도 올해 R&D에 3조1600억원을 투자한다.

19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주재로 반포 팔레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모바일 강국 실현을 위한 산업계 간담회'에서 우리나라가 모바일 시대 IT 강국으로 재도약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정만기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글로벌 모바일 강국 도약을 위해 향후 5년간 수요자 참여형 R&D와 인프라 확충 등 민관 공동프로젝트에 총 76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발표했다.

정 정책관은 우선 R&D분야에서는 취약한 무선망 시스템 개발, 모바일 기기 핵심부품 국산화, 다양한 모바일 소프트웨어(SW) 발굴 등에 오는 2014년까지 5981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는 와이브로 성공사례에서 보듯 취약한 무선망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원천기술 개발→국제표준 채택→상용제품 신속 개발→국내서비스 도입'으로 이어지는 전략을 추진,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6월까지 유·무선망 고도화를 위한 네트워크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다양한 모바일 응용 SW 발굴을 촉진하되 장기적으로는 웹(web) OS 등 자체 SW 플랫폼 확보에도 1100억원 이상 투입할 예정이다.

4세대(G)용 베이스밴드 모뎀 개발을 포함한 다중통신(WCDMA, LTE, 와이브로 등) 모뎀칩 개발도 2014년까지 정부 700억원, 민간 530억원 규모를 투입키로 했다.

아울러 무선망, 기기, SW, 서비스 등 모바일 산업 4계층의 대표 기술을 조기 상용화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소와 단말 제조사, 이통사, 포털 등이 모두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형 모바일 서비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의 이러한 계획에 맞춰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휴대전화 3사는 올해 R&D에 지난해보다 1100억원이 늘어난 3조1600억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아울러 모바일 지속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차세대 휴대전화 종합시험센터, 미래 모바일산업 리서치랩, 산학연 공동 대응체계 등도 구축키로 했다.

정부는 이러한 인프라 확충에 2014년까지 총 162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했다.

최경환 장관은 이날 인사말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2위의 휴대전화 제조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했지만 스마트폰 대처가 미흡해 모바일 시대에서는 IT 강국 위상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면서도 "이러한 변화는 국내 기업들에게 위기이자 새로운 기회, 모바일 시장에서도 조만간 최고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안승권 LG전자 사장, 박병엽 팬택 부회장 등 휴대전화 3사 최고경영자(CEO)와 표현명 KT 사장 등 이동통신 3사 대표, 포털, 중소 부품 및 SW업체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간담회 참석자들은 스마트폰으로 최근 이슈가 되는 무선망에 대해 망접근성 개선 및 고도화 등을 집중 건의 했다.

소비자단체에선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를 위해 다양한 스마트폰 요금제 개발, 스마트폰 검색엔든 변경 등을 제기했다.

엠택비전, 로직플랜트 등 중소기업들은 우수인력 확보, 주요 부품 R&D지원 등을 요청했다.

이에대해 지경부 관계자는 "관련부처 및 유관 기관 등과 협의를 통해 신속히 대응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