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지방선거의 야권 ‘필승전략’인 선거연대 협상 타결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선거가 2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천안함 침몰 사고 등 잇단 악재가 야권에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교착상태에 빠진 야권연대 구상이 막판 속도를 내고 있는 것.
민주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과 국민참여당 등 야4당은 지난 1일 문래동 민노당사에서 만나 이달 15일 이전에 협상을 마무리 짓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6일과 9일 사실상 막판 담판을 벌일 계획이다.
이는 후보자 등록 개시일인 다음 달 13일을 기점으로 적어도 한 달 이전에는 협상을 타결해야 지역별로 야권 후보 단일화를 위한 경선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협상의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이 협상 대표를 윤호중 수석사무부총장에서 김민석 최고위원으로 변경, 교섭력을 높이면서 돌파구가 마련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잠정협의안을 거부했던 민주당이 당 지방선거기획본부장으로 사실상 전권을 갖고 있는 김 최고위원을 내보낸 것 자체가 협상 타결의 의지를 피력한 것이란 해석이다.
그동안의 협상 과정에서 정파별로 입장이 모두 제시돼 이제는 일부 쟁점 사안에 대한 최종적인 결단만 남았다는 인식도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야권연대의 완성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다. 협상 타결의 최대 관건인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룰을 놓고 민주당과 참여당의 입장차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 또 연합 공천 차원에서 기초단체장 선거를 다른 야당에 양보하는 것에 대한 민주당 내부의 반발이 조직화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김 최고위원의 협상 참여로 야권 연대의 물꼬가 트여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협상 타결이 쉬운일은 아니지만 불발되면 선거가 더욱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반드시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