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한국전력은 포스코와 삼성동 한전본사에서 원자력 발전소의 설비용 소재 국산화 개발에 공동 협력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원전 건설에 사용되는 주요 기자재의 핵심소재에 대한 국산화율 제고에 공동으로 노력, 우리 원자력산업계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1978년 고리원전 1호기의 가동을 개시한 이래 1990년대말 대부분의 원전기술을 개발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원전건설 및 운영기술을 확보했으나 현재 원전설비에 쓰이는 주요 소재 부문의 국산화율은 약 76%로 아직 미흡한 편이다.
특히 원전건설에 사용되는 일부 핵심부품들의 소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전세계적인 원전건설 수요 급증을 고려하면 주요핵심부품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전관계자는 "원전소재 국산화를 통해 향후 원전 2기 건설을 기준으로 연간 약 2000억원의 수입대체효과를 예상한다"며 "핵심부품소재의 국산화율 역시 현재 76%에서 향후 90%까지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전은 지난 40년간 원전사업을 운영하며 확보한 국내외의 네트워크 및 국산소재의 개발을 위한 제반 지식을 제공, 포스코는 원전용 희귀자원 확보 및 핵심소재 개발사업을 담당할 예정이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