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자전거 보유율 66%나 되는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5-11 19: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구 3분의 2가 자전거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전거 이용률은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자전거 분실, 사고의 위험성 등으로 인해 자전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자전거 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0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발표한 '시민의 자전거 생활문화 공간' 보고서를 보면, 서울시에 거주하는 설문응답자 1026명 중 자전거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은 66%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81%)과 청소년(69%)의 자전거 보유 비율이 크게 높았으며, 성인(60%) 역시 과반수 이상이 자전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체 서울시의 자전거 보유 현황을 추정하면, 약 270만대의 자전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 자가용 차량 등록대수(271만대)와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의 자전거 이용률은 보유에 비해 크게 낮았다.

자전거 이용자 중 출·퇴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16%에 그쳤으며, 그 이유로 자전거 타는 것이 불편하고 위험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이용자 중 65%가 자전거 사고 경험이 있었으며, 사고 유형으로는 보행자와의 충돌(25%)이 가장 높았지만 차량과의 충돌(20%)과 도로상태 불량으로 인한 사고(18%)도 꽤 높았다.

이와 함께 응답자 53%가 자전거 도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자전거 보관에 대한 불편함도 자전거 이용을 피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 중 73%는 일반도로 축소를 통한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에 찬성했다.

이는 차량중심의 교통정책에서 벗어나 자전거를 위한 정책 도입 여건이 매우 좋단 뜻이다.
 
이 때문에 정부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3월 '2010 자전거 정책 추진계획'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 자전거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고, 자전거 출퇴근 시민들에게 수당 등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7개 대학에 공용자전거를 설치하고, 가맹점을 통해 자전거 이용 고객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향후 10년간 총 1조5000억원을 들여 건설할 예정인 국가자전거도로 3120km 가운데 도심 생활형 자전거 도로는 178km에 불과해 생활 밀착형과는 거리가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도 "보다 실질적으로 자전거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여가 및 레저용으로 활용되는 강 하천변 지역이나 출퇴근용으로 사용되는 주보조간선도로 이외에 생활권 내 지역에 대한 시설확충과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전거 생활문화 공간이 시민을 중심으로 집, 생활서비스시설, 학교, 시장, 직장으로 이어지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공간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 최근 몇 년 동안 자동차 교통사고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전거 교통사고는 최근 2년간 37% 급증했고, 매년 약 300명이 사망할 정도로 생활 주변의 자전거 환경은 나쁘다.  

이와 함께 자전거를 대중교통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자전거 이용자를 우선하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회원 수 33만6000명이 넘는 네이버 카페 모임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자출사)의 한 회원(아이디 : 방랑자)는 프랑스 자전거 생활 정책이 실효성을 거두는 이유로 자동차의 시내 중심 운행을 금지하고 자전거 전용도로가 없는 곳에서 자전거 운행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법적 보호장치가 잘 돼 있는 점을 꼽았다.

또 대중 교통수단과 연계가 잘 돼 있는 점도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 되는 요인으로 분석했다.

한편 행안부는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자전거 도로 재질이나 색깔, 환경 등이 모두 상이한 점을 감안해 오는 6월 자전거 이용시설과 관련한 명확한 기준과 관리지침을 마련해 각 지자체에 배부할 예정이다. 

jjong@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