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366조원으로 GDP(국내총생산) 대비 35.6%이다. 올해엔 407조2000억원으로 늘어나 GDP 대비 36.1%가 될 전망이다. 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유로 지역 GDP 대비 국가채무 비중은 78.2%였다.
외환보유액에 있어서도 지난 4월 기준 우리나라는 2788억7000만 달러를 보유해 전달 보다 65억4000만 달러가 늘어났다. 하지만 문제는 EU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 지난해 우리나라가 EU에 수출한 액수는 445억71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 중에서 12.8%를 차지했다. 비중은 중국(23.9%) 다음으로 높은 비중이다.
유럽의 재정위기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앞으로 EU 국가들은 하나같이 재정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긴축재정을 실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EU 지역의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우리나라의 EU로의 수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투자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대외투자 잔액은 3347억4000만 달러이다. 이 중 EU는 600억 달러로 17.9%를 차지한다. 이는 미국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특히 지난해 우리나라 ‘파생금융상품’ 투자 잔액은 62억3000만 달러였는데 이 중 EU는 37억7000만 달러로 60.5%였다. 이 외 증권투자도 EU는 20.5%로 미국 다음으로 많은 투자를 끌어들였다. 이런 상황에서 EU 국가들이 긴축재정을 실시해 EU 지역의 총수요가 감소하면 우리나라가 EU 지역에 투자한 것이 오히려 손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말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한 투자 잔액은 7527억6000만 달러이다. 이 중 EU는 2342억9000만 달러로 31.1%를 차지했다. 특히 ‘파생금융상품’ 투자는 97억4000만 달러인데 이 중 EU는 57억4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이외에 EU는 직접투자(42.5%)와 증권투자(32.7%)에도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재정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유럽보다는 안전한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어 유럽의 재정위기가 확산되더라도 EU에서 투자된 돈이 당장 회수될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유럽의 재정위기가 더욱 심화되면 투자금의 일부가 회수될 가능성은 있다.
또한 지난해 EU는 우리나라로부터 가장 많은 돈을 빌려갔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가 외국에 대출해 준 잔액은 451억5000만 달러인데 이 중 EU는 95억7000만 달러로 21.2%를 차지한다.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EU 대출액 중에는 EU에 본점을 둔 외국계 은행의 한국 지점이 본점에 대출해 준 돈도 있을 것이고 그럴 경우 대출금을 상환받지 못해도 우리나라가 영향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8일 임종룡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조선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개최된 ‘아시아 시장으로의 자본흐름’ 국제 컨퍼런스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을 고려하면 그리스 재정위기 우려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한국은 남유럽 국가에 대한 익스포져(국내 금융기관의 채권금액)가 낮고, 재정이 상대적으로 건전하며, 외환보유액도 충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만 EU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상태에서 유럽 재정위기가 확산되자 정부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재정부는 23일 오후 과천 정부청사에서 열린 ‘경제분야 합동대책반 회의’에서 “향후 남북관계의 불확실성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요인이 맞물리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되고 이로 인해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며 “관련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대응방안을 적극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leekhy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