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국회 천안함 진상조사특별위원회 회의 첫날인 24일 여야는 사건의 원인규명과 함께 ‘북풍(北風)’의 가능성을 두고 뜨거운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 윤상현 의원은 "망망대해에서 잠수함 탐지는 모래사장에서 바늘 찾기"라며 "미국의 잠수함 탐지 수단을 전부 동원해도 미국으로 침투하는 적 잠수함의 50%만 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동성의원은 “소를 물가로 데려갈 수는 있지만 억지로 물을 먹일 수는 없다는 말이 있다. 믿지 않으려고 작정한 사람들에게는 어떤 증거를 제출해도 믿게 만들 수가 없구나하는 생각이 든다”며 천안함 조사결과에 대한 불신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어뢰 추진체 내부에 쓰인 `1번'이라는 한글 표기와 관련, "북한에서 발간되는 `조선말대사전'을 찾아봤더니 `번'이 분명히 있다"며 "탈북자 출신하고도 얘기해 봤는데 조립품의 경우 1번, 2번이라고 쓰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같은 당 김효재 의원 역시 “천안함 피폭사건은 의심할 여지 없는 북한의 소행”이라며 “전세계가 인정하고 있고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에서 북한 규탄성명이 채택된바 있는데 우리는 못하고 있는 것이 참담하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영우 의원은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의 강력한 대응조치 때문에 다시 남북한 관계가 경색됐다는 우려의 목소리 있는데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의견”이라며 “확고한 안보태세 돌입해서 당분간 경색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야당은 합조단의 진상파악 여부를 반박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중어뢰의 수중폭발에 따른 물기둥(버블제트)에 대해 "물기둥이 100m 정도면 낙차가 얼마나 큰지 아느냐"며 "그러나 (낙차에 따른) 소리를 들었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생존자 중에서도 물벼락을 맞았다는 사람은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박영선 의원은 침몰사고가 난 해역의 좌표에 대해 "국방부에서 찍어준 KNTDS 좌표와 해군이 발표한 좌표가 위도, 경도 다 차이가 난다"면서 "이 데이터 하나 제대로 분석을 안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선숙 의원은 천안함 침몰시 속초함, 링스헬기, 초계기인 P3C가 출동했던 점을 지적하며 "확률적으로 계산해보니, 그것들을 모두 다 뚫고 잠수정이 공해상 모선에 도착할 확률은 0.81%"라며 "링스헬기, P3C도, 속초함도 무용지물로 서해안에서 유사한 어떤 사고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자백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의원은 "정부가 천안함 사건의 진상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는데도 대통령 담화문까지 발표함으로써 선거전에 이용하려고 하고 있다"며 '북풍(北風)'의혹을 제기했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