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은진 기자) 본지 주최로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소비자 안전정책 국회포럼’ 제1세션에서는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가 발표한 ‘녹색식품 인증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이날 토론에는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정책 과장, 황선옥 소비자시민모임 이사, 박찬흥 본지 산업부 부국장이 참여해 정부·소비자·기업 등의 입장을 각각 발표했다.
또 식품정책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집중 점검했다.
최근 이물질 사고와 유전자변형작물(GMO) 등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녹색식품의 이상모델도 토론에서 제시됐다.
다음은 참석자들의 주요 토론 내용.
△ 박찬흥 산업부 부국장(이하 박) :녹색식품 인증제도가 지난해 발휘되면서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식품업체들이 저열량, 무첨가 등의 친환경 식품을 만들다보니 맛이 떨어져 매출이 하락될까 우려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녹색식품을 반기고는 있지만 정확한 정보를 얻고 있지 못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정책 과장(이하 손) : 현재 식약청에서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가공식품에도 녹색식품 인증을 도입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아직 이른 감은 있지만 앞으로 넓은 의미의 저탄소 녹색성장 개념도 함께 논의할 것이다.
식품 유형에 따라 녹색식품으로 분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적으로는 무첨가 녹색식품이 맞지만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 합성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녹색 식품으로 인증하고 있다.
현재 인증평가와 주최에 대해서는 법안이 통과가 아직 되지 않았다. 식약청이 관련 기관이나 단체에 위탁할 예정이다.
△ 황선옥 소비자시민모임 이사(이하 황) :우리나라는 녹색 즉 그린이라는 말이 친환경을 대변하고 있다. 이 그린에는 안전보다는 청정의 의미가 더 많이 포함돼 있다.
이런 이유로 녹색식품의 정의가 너무 포괄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차라리 무첨가 혹은 천연첨가물 등과 같은 구체적인 말을 쓰는 게 더 나을 것 같다. 진정한 의미의 녹색식품을 추구한다면 저탄소 생산과 유통, 안전성 등이 보장돼야 할 것이다.
최근에는 벽지·화장품 등에 천연이라는 말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천연이라는 말에는 100% 자연재료라는 의미이나 해당 제품의 구성요소를 면밀히 따져보면 대부분 화학성분이 들어가 있다. 이것이 바로 천연이 둔갑한 사례다.
또 유기농분유에서 잔류 농약이 나온 적이 있어 친환경을 대표하는 단어들이 악용되고 있다.
진정 소비자를 위한 녹색식품이라면 올바른 정의 구현과 함께 생산과 소비,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저탄소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식품 첨가물외에도 지방·당·나트륨·중금속·GMO·인공화학조미료(MSG) 등도 위험하다. 친환경과 소비자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녹색식품이라 할 수 있겠다.
△ 박 :녹색식품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식품업체들과 소비자들의 인식변화와 다양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기업들이 현실적으로 이 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정부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지, 인증 절차의 객관성은 어떻게 확보하고 있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 손 : 녹색 인증제에 생산과 판매, 폐기까지의 여러단계 중 어느 단계까지 포함시킬 것인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향후 녹색식품에 대한 공감대를 끌어내고 결론을 토출해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식품 안전 관리는 정책을 통해 체계를 하나씩 만들어가면서 소비자가 안심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 녹색 인증제의 시행과 범위, 구분, 절차 등을 세분화시켜 공격적이면서도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인증절차는 2년 단위로 등록제 형태다. 인증기관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정부 외에도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는 소비자단체나 대학교 등이 참여할 수 있다.
△ 황 : 당, 나트륨 등과 같이 과다하면 건강을 해치는 성분을 식품에서 제거하면 맛이 떨어져 소비자들이 이를 외면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와 기업들은 이런 소비자들의 인식변화를 위해 홍보에도 취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