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심재진 기자) 27일 국내 증시는 유럽발 재정위기에서 한발 비켜서는 모습을 보였지만 '유럽발 공포'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유럽 각국이 재정긴축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실천 단계에 접어들지 않았을뿐더러, 다른 변수들도 많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 증시가 유럽 재정위기 공포에서 완전히 벗어나려면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5일 그리스를 필두로 스페인, 포르투갈, 독일, 영국, 이탈리아, 덴마크 등 7개국이 재정긴축 방안을 내놨다. 남유럽 재정위기의 주축이었던 국가들이 긴축 방안을 마련하면서 유럽 재정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긴축 정책이 재정위기를 해소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효성 여부에 문제가 있어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수영 KB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리스와 덴마크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GDP 1% 내외 규모의 재정긴축 안을 발표했다”며 “정책을 발표한 7개 국가들의 누적 정부부채가 85.4%에 달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이번 안이 재정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기엔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상대적으로 재정이 취약한 남유럽 국가 즉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 등의 정부부채 총액이 올해만 하더라도 이자를 포함하면 4700억 유로라고 알고 있다”며 “추가적인 정책이 있어야만 상환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리스만 해도 300억 유로의 구조조정안을 냈지만 전반적인 시각은 그리스가 그만큼의 긴축을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며 “그리스의 특성상 실제적으로 그만큼의 재정긴축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고 우려했다.
또한 재정긴축 방안이 실효되기 이전에 다른 변수들이 있을 수 있어 금융시장에까지 위험을 안겨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여론 악화로 구제금융에 실패하고 ‘채무재조정’단계로 가게 될 경우 금융시장까지 쇼크를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 연구원은 “그리스와 포르투갈의 재정문제에서 불거졌지만, 결국 그 책임은 돈을 빌려준 프랑스은행이나 독일은행이 져야 하는 것일 수도 있다”며 “금융권이 잘못한 부분들을 국민의 세금으로 막느냐는 여론이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구제금융이나 재정긴축 안이 실행되기 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증시도 장기적인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오 연구원은 “일단 유럽 리스크가 한번 크게 반영이 됐기 때문에 그에 따른 반발성 반등이 일어날 수 있다”며 “마지노선까지 내려왔기 때문에 2~3일 정도는 조정 반등이 이어지겠지만 1750선까지 복귀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우 대우증권 연구원도 “최근 이틀간 반등이 이어져 큰 고비를 넘겼다는 것에는 동의한다”면서도 “재정위기를 넘긴다고 하더라도 경제적인 리스크가 또 남아있기 때문에 내후년까지도 유럽 정부부채 만기 등으로 리스크는 계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jjsim@ajnews.co.kr[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