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경기도지사 선거에 대한 인터넷 상의 논란이 뜨겁다. 네티즌들은 이번 선거에 대해 인터넷 네트워크인 트위터를 중심으로 재투표 추진 움직임까지 일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경기지사 선거에서 발생한 총 18만3388표다. 이는 경기도와 선거인수가 유사한 서울의 무효투표수 2만8510표에 비해 약 7배 높은 수치다. 네티즌들은 이 같이 무효표가 다량 발생한 이유는 진보신당 심상정 후보가 투표일 하루 전에 사퇴해 이를 알지 못한 유권자가 심 후보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심후보의 사퇴사실을 알리는 공고문 게시 외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은 선관위에 화살이 돌아가고 있다.
특히 이번 경기지사 선거에서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가 227만1492표(52.20%)를 얻어 207만9892표(47.79%)를 얻은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를 19만1600표 차이로 당선됨에 따라 이를 아쉬워하는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18만 무효표 논란'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2일 개표 후 트위터에서는 현재 무효투표수를 알리는 실시한 문구가 게시됐으며, 3일에는 '경기도 재투표 추진 트위터'모임이 개설돼 현재 천 여명이 넘는 네티즌들이 방문 동참하고 있다.
또한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서는 무효표를 공개하자는 서명운동이 시작됐으며 오후 3시 현재 3만9776명이 참여했다.
하지만 이 같은 트위터 등의 움직임에 대해 경계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일부에서는 경기지사의 무효투표율인 4.04%는 전남지사 선거의 4.65%보다 낮다고 지적하며 형평성이 고려되지 않은 일방적인 의사표시가 전체의 의견인양 유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트위터의 경우 한번 전달되면 되돌리기 힘들며 그 진위를 확인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점을 언급,자칫 공정히 치뤄진 선거를 왜곡하는 결과가 될 수 있음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경기지사의 선거 논란 여부를 차제하더라도 이른바 '트위터 혁명'으로까지 불리며 젊은 유권자를 결집시킨 네티즌의 이 같은 정치 여론의 참여의 양상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h991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