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탄소성적표지는 환경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원이 주관, 제품의 생산부터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해 제품의 친환경성을 인증하는 제도다.
조사 결과 K5의 탄소배출 총량은 24.6t으로 원·부자재 제도 단계에서 12.3%, 차량 제조 단계에서 2.4%, 사용 단계(12만㎞ 주행 기준)에서 85.3%, 폐기 단계에서 0.04%의 비율로 이산화탄소개 배출됐다.
24.6t이라는 배출량은 국내 동급 차량 중 최저치다. 경쟁 모델에 비해 약 0.3t이 감축됐다. 이전 모델인 로체에 비해서는 약 1.5t 낮은 수치다.
기아차는 지난 2006년부터 제품의 원재료, 제조,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 걸친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기법을 완성차에 적용하고 있다.
기아차는 이 같은 K5의 친환경성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 지속가능보고서 등을 통해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향후 출시될 신차들에 있어서도 탄소배출량 저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돕는 저탄소 녹색경영체제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기아차 제공)
ner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