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단기부동화 심화… 금리인상 앞당기나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확대로 시중자금의 단기부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만기도래 예금이나 증시이탈 자금이 속속 회전식예금이나 머니마켓펀드(MMF)·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에 편입되고 있다. 대기성자금의 증가가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5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 금융권 등에 따르면 시중자금의 회전식예금·MMF·CMA 유입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회전식예금을 포함하는 만기 2년 미만의 예적금 잔액은 올 4월 말 현재 707조6917억원으로 전년 말의 648조3992억원에 비해 9.14%(59조2925억원) 급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지난 1월 15.1%, 2월 16.9%, 3월 18.5%로 증가세가 가파라지고 있다. 특히 지난 4월에는 20.5%나 늘며 지난 2001년 1월의 24.6% 이후 9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MMF도 지난해 4월 78조8924억원으로 고점을 찍었다가 증시 회복의 영향으로 8개월 만에 25조원이나 빠졌으나, 올 들어 4개월 만에 8조원이 부풀었다.

증권업계에서는 5월과 6월에는 상승폭이 3조~4조원으로 확대돼 6월 말 현재 잔액이 7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CMA 역시 지난달 21일에 42조6048억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하는 등 몸집을 키우고 있다.

이처럼 시중자금이 투자시기 조율에 나선 것은 3분기 중 기준금리가 오를 거란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MMF나 CMA 등 유동성이 높은 상품에 자금이 더 많이 몰린 점도 이를 증명한다. 지난 4월 광의통화(M2, 평잔)의 전월대비 증가율은 0.8%로 평소와 비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 기대감이 커지며 MMF나 수시입출식예금(MMDA) 등 유동성 확보가 용이한 상품에 관심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단기자금 쏠림 현상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최근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진 상황서 시중자금 단기화가 이를 더욱 가속화 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유재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느닷없는 행동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 5월 금통위에서 5명의 금통위원 중 3명이 △물가상승 가능성 △단기부동자금 증가 △경제주체들의 구조조정 지연 등을 이유로 금리 수준에 대해 매파적인 입장을 펼쳤다.

지난달 24일 금통위에서 한은이 총액대출한도를 1조5000억원 축소한 점도 금리 조기 인상 전망에 힘을 실어준다. 총액대출한도 축소로 앞으로 한은이 쓸 수 있는 긴축카드가 금리인상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편 한은은 오는 9일 정례금통위를 열고 이달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 운용방안을 발표한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