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가 18일 북한의 댐 방류에 대비하기 위해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임진강 군남홍수조절댐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한국수자원공사 임진강건설단은 이날 오후 북한이 댐 방류 가능성을 통보해옴에 따라 6명이 비상근무를 하고 있으며, 수위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날 오후 2시께 경의선 군 통신선을 통해 '지금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게 되면 저녁 8시 이후 임진강 상류 댐의 물을 불가피하게 방류할 수 있다'고 우리 측에 통보해왔다.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북한 황강댐에서 군남댐까지 거리는 57㎞로, 방류된 물이 군남댐에 도달하는데 7~8시간 가량 걸린다. 이날 오후 8시 방류가 시작될 경우 19일 오전 3~4시께 군남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남댐은 이날 오후 4시 현재 13개 수문 가운데 7개 수문을 1.5m만 열어놓은 상태로, 총 저수량 7만t의 6.8%인 480만t의 물이 저수돼 있어 북한에서 댐을 방류한다 해도 여유는 있다.
군남댐은 북한의 댐 방류로 일정 수위까지 물이 차게 되면 연천군과 한강홍수통제소 등 유관기관에 통보, 수문 조작을 통해 댐 방류 등의 조치를 하게 된다.
한편 수자원공사와 연천군은 16일부터 내린 비로 임진강 상류 남방한계선에 위치한 필승교 수위가 경계수위(3m)를 넘어서 이날 오전 7시께 임진강 일대에 대피방송을 발령해 야영객들은 이미 대피했다고 밝혔다. 또한 임진강 어민들도 어구를 모두 거둬 들여 북한이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더라도 피해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군남댐 관계자는 "댐 방류에 대비해 수위변화를 주시하고 있다"며 "방류된 물이 일정 수위까지 차오르면 매뉴얼에 따라 방류 등의 조치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