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외교통상부에서 특채로 채용된 5급 이상 외무공무원의 38%가 영어와 제2외국어 2개 등급을 모두 보유하고 있지 않은 반면 공채 출신자의 경우는 3.8%만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통상부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유기준(한나라당) 의원에서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8월 기준으로 특채 출신자 284명 중에서 38.4%인 109명이 영어와 제2외국어 등급이 모두 없는 것으로 30일 유기준 의원은 분석했다.
반면 공채 출신자 1150명 중 영어와 제2외국어 등급이 모두 없는 경우는 3.8%인 44명에 불과해 이와관련 특채자들의 외국어 구사능력이 현격히 떨어졌다고 유 의원은 지적했다.
또 영어 등급이 없는 사례는 공채 출신자가 6.2%인 72명인 반면 특채 출신자는 47.95인 136명(47.9%)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제2외국어 등급이 없는 경우는 공채 출신자도 47.2%인 543명으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특채출신자는 71.1%(202명)로 훨씬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외교통상부 내 5급 이상 외무공무원들은 모두 1434명으로, 이 가운데 공채 출신자는 1150명이고, 특채 출신자는 284명이다.
유 의원은 "특채 출신의 외무공무원 중에서 영어 및 제2외국어 등급 미보유자가 많다는 것은 특채 직원들에 대한 외국어 구사능력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 의원은 재외공관 156곳 중에서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대사관과 몽골대사관, 이란대사관 등 재외공관 27곳에서 현지 언어능력 검정시험에 합격한 직원이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덧붙였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