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사건을 바라보는 한나라당의 표정이 곤혹스럽기만 한다.
그간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입법로비 의혹 관련 검찰수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여 오던 민주당이 돌연 입장을 바꾼데 이어, 다른 야당과 함께 ‘대포폰’ 논란 등 총리실 사찰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및 특별검사제 도입을 주장하며 한나라당을 연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춘석 민주당 대변인은 21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청목회 수사에 당당히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혀둔 상태에서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를 수용할 것을 (한나라당에) 충분히 요구했다”며 “양당 원내대표 간에 국회 정상화를 위해 전망적 조율이 이뤄질 것이다”고 기대했다.
그간 한나라당은 ‘청목회 수사=정치탄압’이란 야당들의 주장에 맞서 “잘잘못은 검찰에 가서 밝히면 된다”는 입장을 고수해온 반면, 총리실 사찰과 관련해선 “재수사 여부는 검찰이 판단할 몫”이라면서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삼갔다. “야당의 폭로가 일부 있었지만 그마저도 검찰수사에서 드러난 사안인 만큼 더 이상의 언급은 불필요하다”는 게 여권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반응이었다.
그러나 최근 민주당이 총리실 사찰에 대한 국조 등을 ‘고리’로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를 ‘보이콧’하면서부턴 한나라당 주변에서도 일부 변화 기류가 읽히고 있다. “국조나 특검은 당장 어렵더라도 여론을 감안할 때 재수사 또는 추가수사 촉구가 필요하다”는 것. 이미 지도부 중에선 홍준표, 나경원, 정두언, 서병수 최고위원 등이 이 같은 주장을 한 바 있다.
다른 한나라당 관계자도 “이 문제는 지금은 덮고 가더라도 언제든 다시 터질 수 있는 사안이다”면서 “출구전략을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도 “검찰도 한번 지르고 우리도 한번 질렀으니 이제 서로 ‘출구전략’을 찾아야 한다. 언제까지 이렇게 갈 순 없다”고 밝힌 바 있다.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