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등 야당은 물론, 여당인 한나라당에서도 “관계당국의 후속 대처가 잘못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 그러나 청와대는 비공개를 전제로 한 원 원장의 답변이 공개된 점과 언론 보도태도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는 등 극명한 온도차를 보였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일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장의 정보위 보고가 국회에서 공개돼 논란이 일어나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보당국은) 입법기관의 업무이해를 높이기 위해 국가의 주요 정보 상황을 조금씩 보고한다. 그러나 그걸 (외부로) 노출해선 안 되기 때문에 내용발설을 못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언론편의나 국민 알 권리를 위해 필요한 부분은 정보위원장과 당국자, 그리고 여야합의로 공개하는 게 관례지만, 이 엄중한 시기에 감청 등 안보상 민감 사안이 완전히 노출된 건 문제다”고 원 원장 발언 공개에 대해 거듭 불만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는 북한 도발징후에 관한 국정원의 청와대 보고 여부 등에 대해선 “그런 문제 하나하나가 국가 안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다만 그는 “(우리 군의) 무기 이동상황이나 구체적인 숫자, 무장상태, 전반적인 장비현황 등이 유리알처럼 드러나는 게 문제다”며 오히려 언론의 보도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도 전날 외교안보자문단 간담회에서 “연평도에 군사장비가 들어가는 상황이 TV생중계처럼 보도되고, 신문에 장비 거치 사진이 나오는 건 걱정스럽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어느 나라든 국가안보는 총구가 아니라 정보로부터 시작된다”는 영국 작가 고든 토머스의 말을 인용, “우리나라가 시작부터 국가안보에 실패했다는 게 드러났다. 아무리 하드웨어를 강화해도 소프트웨어가 신통치 못하면 국가안보는 장담할 수 없다”고 관계당국의 대처가 미흡했음을 비판했다.
또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전날 정보위에서 공개된 위성사진을 통해 우리 군의 대응포격이 상당 부분 북한군 진지를 비껴간 것으로 확인된 점 등을 들어 “국정원장은 이런 사실을 모두 조사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국민에게도 알려야 한다. 그래야 전화위복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서해 5도 공격 첩보를 사전에 입수하고도 대응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며“올 8월 입수한 첩보는 우리 군의 포사격 훈련계획에 대해 북측이 해안포부대에 대응사격을 준비하라는 지시였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