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위는“신속하게 진행된 국군장병의 장례 절차와는 달리 민간인 사망자에 대한 국가의 대우를 보면서 현 정부에 대해 실망스러움을 넘어 분노를 느낀다”고 목청을 높였다.
또 “더구나 민간인 사망자 확인은 이들이 희생된 다음날 오후 늦게 이뤄졌고, 정부는 일주일이 넘는 동안 관련법 운운하면서 민간인 사상자에 대한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위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의지도 능력도 없는 안보무능정권인 이명박 정권은 신속하게 연평도 피해주민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며 "국민들에게 믿음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천시의회도 정부의 연평도 주민피해 대책 마련을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시의회도 지난달 29일 본회의를 열고 ‘북한의 연평도 무력도발 규탄 및 연평도 주민피해 조기수습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연평도 피해 주민에 대한 정부 차원의 항구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늑장 대처가 이어지자 인천시의회는 1일 의장 및 위원장단 회의를 열고 정부의 조속한 대책 마련을 재촉구하고 나섰다.
현재 1,700여명에 이르는 연평도 주민 대부분은 섬을 빠져나와 인천의 찜질방 등에서 피난민 생활을 이어가고 있으며, 사건 당일 사망한 민간인 희생자 2명은 아직도 장례를 못 치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