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원화대출 잔액은 1월말 현재 647조8973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9259억원 증가했다.
원화대출 잔액은 지난해 꾸준히 늘어나다 12월 연말 기업에서 부채비율을 줄이기 위해 대출을 대거 상환함에 따라 5조9548억원으로 급감했으나 지난 1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원화대출이 증가한 것은 중소기업 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탓이다.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현재 292조 8477억원으로 전월말 대비 2조2639억원 급증했다.
중기 대출 잔액의 경우 지난해 11월 1조1213억원 감소한 뒤 이어 12월에 6조6914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달 설을 앞두고 기업들이 운용자금 마련에 나서면서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대기업 대출은 53조9823억원으로 1조1269억원 늘어나면서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복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198조7479억원으로 5087억원 늘어났으나 증가액은 지난 8월(-8536억원) 이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대출 금리는 시중금리 상승세와 함께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어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6개 시중은행의 지난 1월 말 대출잔액 기준으로 금리가 평균 1%포인트 오르면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은 6조5000억원 늘어나게 된다. 그만큼 가계와 중소기업의 씀씀이가 빠듯해진다는 뜻이다. 이자를 갚지 못해 대출이 부실화될 위험도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는 지난 1일 연 3.05%에서 설 연휴 이후 이틀 연속 올라 전날 3.09%로 마감했다. 지난해 말 대비 0.29%포인트 오른 수치로 2년만에 3%대를 넘은 것.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지난 1일 3.98%에서 7일 4.10%로 상승했으며 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해 말 4.08%에서 전날 4.51%로 0.43%포인트 올랐다.
이에 따라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의 CD연동 주택담보대출의 최고금리가 6%대 중반까지 올랐으며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지난해 말보다 0.4~0.5%포인트 가량 높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 들어 시중금리가 상승추세를 지속하고 있어 대출금리 인상도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금리 상승기에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은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내 물가 상승이 가팔라지면서 금융당국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 가계와 중기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