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임명찬 기자) 고위험임산부가 저체중아를 분만하는 비율이 일반 임산부의 6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임산부는 임신중독증, 전치태반, 역아임신, 임신성 당뇨병과 같이 임신 또는 기존의 질병으로 인해 모체나 태아가 위험에 노출된 35세 이상 산모를 말한다.
24일 16개 생명보험사가 출연해 설립한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하 생보사회공헌재단)이 2009 ~ 2010년까지 인구보건복지협회(이하 인구협회)를 통해 의료비를 지원한 고위험임산부 134명의 건강실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저체중아를 낳은 고위험임산부는 48명(30.5%)으로 일반산모의 저체중아 출산율인 4.9%의 6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임산부는 쌍둥이 분만율이 21명(15.6%)으로 일반인이 쌍둥이를 임신하는 비율인 2.72%의 5배를 넘었다.
이외에도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은 104명(78.3%)으로 일반인 분만율인 36.3%의 2배를 넘었으며, 모유 수유율은 일반산모의 57%보다 낮은 63명(4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생보사회공헌재단이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인구보건복지협회를 통해 의료비를 지원한 고위험임산부 134명의 건강실태를 분석한 결과다.
생보사회공헌재단은 올 4월에도 약 370명의 고위험임산부 의료비지원사업을 계속 시행할 예정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임산부는 담당의사의 소견서 및 건강보험료 영수증 등 신청서류를 출산양육지원 공동사무국으로 제출하면 된다. 공동사무국은 임신에 따른 위험도와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지원대상자를 선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