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모두 회동 자체에 대해선 반대할 이유가 없지만 회동의‘전제조건’을 두고선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손 대표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3·1절’ 기념식장에서 있었던 이 대통령과의 대화 내용이 마치 직접 회동 제의를 받은 것처럼 보도된 점을 들어 “앞뒤 얘기가 다르다”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전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3·1절 기념식장에서 이 대통령과 손 대표가 만난 사실을 전하며 “언제 한 번 봐요”(이 대통령), “예”(손 대표)라는 등의 대화내용을 소개, 이 대통령이 손 대표에게 회동을 직접 제안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청와대도 이 같은 해석을 굳이 부인하지 않았다.
손 대표도 이날“(청와대 측에) 회동에 대한 요구가 분명히 있는 것 같다”며 “얼마든 (이 대통령과) 만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다만 그는 작년 말 한나라당에 의한 예산·법안 강행처리와 국무총리실 등이 연루된 이른바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등을 거론, “이번엔 대통령이 통 크게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 최소한 재발방지라도 약속하는 게 도리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이번엔 청와대에선 “손 대표가 왜 이리 대통령과의 대화에 조건을 걸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왔다. “대통령과의 회동은 정치적 흥정의 대상이 되거나 정략적으로 이용돼선 안 된다”는 것이다.
사실 청와대와 민주당 간의 이 같은 신경전은 이미 지난달에도 한 차례 벌어진 바 있다. 지난달 1일 신년 방송좌담회에서 이 대통령이 손 대표와의 회동 가능성을 거론한 뒤 양측 간에 ‘물밑 협의’가 진행돼왔으나, 민주당의 2월 임시국회 등원 문제 등과 맞물리면서 결국 무산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앞서 회동이 무산된 책임도 결국 정치적 입지 때문에 조건을 내건 손 대표 측에 있다”고 거듭 반박했다. ‘전제조건이 붙을 경우 회동에 응하기 어렵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 안팎에선 "이번에도 이 대통령과 손 대표의 회동 얘기는 '없던 일'이 될 것 같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