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LG 유플러스가 최근 자사 유무선 서비스를 사용하다 겪은 소비자들의 불편 사항을 개선한다며 ‘품질신고 센터’를 설치·운영하지만 이같은 소비자의 불편을 외면, 형식에 그쳤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경기도 평택에서 상점을 운영하던 김모(37·여)씨는 최근 오산으로 이사하면서, 그동안 사용해 오던 이 회사 결합상품에 대한 이전·설치를 회사측에 수 차례 요구했다.
김씨가 사용하던 상품은 결합상품으로 자택에서는 TV와 인터넷을, 가게에서는 인터넷을 각각 사용해 왔다는 것.
하지만 김씨는 “평택에서 오산으로 이사하면서 이 상품에 대한 이전 설치를 회사측에 수 차례 요구했지만, 회사측의 답변은 너무 무책임 하다”고 말했다.
김씨는 또 “선로가 없어 인터넷 설치를 못하는 책임을 엘지측은 자신들의 책임보다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면서 요금 납부를 강요하고 있다”며 “소비자를 우롱하는 이같은대기업의 행태는 결국 소비자의 힘을 모아 그에 따른 책임을 따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엘지측 관계자는 “김씨가 이사한 오산 특정지역의 경우 회사 선로가 없어 인터넷 이전·설치가 불가능 하다”면서 “하지만 자택과 상점에서 사용하던 2대의 상품 가운데 1대 인터넷 사용에 대해서는 회사측이 허용,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가게에서 사용해 왔던 나머지 1대 사용분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계약을 파기한 꼴로 봐, 기기 임대비와 계약 해지금 등을 소비자가 납입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엘지측 횡포에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시민 심모(39·오산시)씨는 “상품에 가입할 때에는 현금을 주며 꼬시는 등 상품권이나 상품까지 증정하는 등의 온갖 추잡스런 형태로 가입자를 모으더니, 상품 해지의 경우에는 자신들의 치부까지 소비자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등의 횡포를 보여 어처구니가 없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 회사는 지난달부터 네트워크와 단말·장비·데이터 그리고 고객 서비스 등 유무선 통신 전반의 품질을 개선·강화키 위해 전사 차원의 품질 전담팀 및 품질혁신 태스크포스(TF)를 설치·운영하는 등의 품질경영을 추진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