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상)-흔들리는 의정부중등교육>

  • ‘교육당국 편법 조장’<br/>‘배정방식 검토해야’

(아주경제 임봉재 기자) 의정부지역의 중학교 배정을 둘러싸고 올해도 ‘왕따식’이라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반발이 되풀이되고 있다.

특히 교육지원청이 ‘인원 메꾸기’라는 편법까지 동원하면서 교육행정의 신뢰도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이른바 배정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차원을 넘어 예산을 낭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교육환경이 선호학교 중심으로 쏠리면서 중등교육이 뿌리까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의정부 중등교육의 현주소와 개선방안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편집자주>

(상) 편법 조장하는 의정부중등교육
(중) 학급별 인원수 들쑥날쑥, 예산낭비 지적
(하) 지역실정에 맞는 배정방식 필요


경기도 의정부지역 일부 중학교에서 배정방식을 놓고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교육당국이 편법 행위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년전부터 중학교의 배정인원 불균형 현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인데도 불구, 의정부교육지원청이 별다른 대책 없이 학부모들의 선택만을 강요해 왔기 때문이다.

14일 경기도교육청 제2청과 학부모 등에 따르면 의정부시 가능동에 위치한 A중학교와 B중학교 간의 거리는 1㎞ 내외에 불과하지만, 올해 신입생 수는 A중학교 189명과 B중학교 255명으로 66명이나 차이가 난다.

학급 수로는 2학급이 차이가 난다.

특히 같은 지역에 있는 C중학교와는 신입생 수가 2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등 쏠림현상이 심각하다.

학원과 통학거리 등 주변 교육환경은 비슷하지만 A중학교가 변두리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입학을 꺼리고 있고, 같은 지역에 있는 다른 중학교로의 입학이 몰리면서 매년 학생 수 격차는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격차는 교육지원청의 안일한 행정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초등학교 졸업생과 중학생 신입생 정원이 맞지 않기 때문에 일부의 불만을 고려한다면서도 배정방식을 조정하는 것은 불가하다는 게 교육지원청 관계자의 전언이다.

현재 중학교 배정방식은 신입생이 제출한 선호학교 순위를 바탕으로 각 중학교에 ‘선희망지배정, 후거주지고려’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입생들은 선호하는 중학교를 배정받기 위해 인근 지역으로 위장전입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의정부지역 중학교 곳곳에서 입학을 앞두고 편법이 극성을 부리고 있지만, 교육지원청은 배정방식에 문제가 없다는 이유로 수년 동안 방치하고 있다.

특히 교육지원청이 배정방식 절차를 무시한 채 신입생 수가 부족한 비선호학교를 대상으로 ‘체육특기생 전입’을 종용하는 등 편법을 조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부족한 인원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체육특기생 전입을 제시한 바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비선호학교의 학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지원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학교 선호도를 바탕으로 배정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학부모들은 특정 중학교에 학생들이 선호학교로 집중되면 교육 불균형은 초래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학부모는 “교육지원청이 편법을 동원하면서까지 배정원칙을 고집한다는 것은 교육목표를 역행하는 일이 될 것”이라며 “지역 실정에 맞는 중학교 배정방식 개정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