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의 진퇴가 여권 내분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한나라당은 분당을 ‘필승 카드’로 정 위원장을 사수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정 위원장의 계속되는 고사와 당 일각의 반대 입장이 더해져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또한 정 위원장이 초과이익공유제 논란 과정에서 동반성장위원장직 사퇴 가능성마저 거론하며 정부 및 청와대와 각을 세우고 있어 한나라당의 정 위원장 영입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간정 위원장의 출마에 대해“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다“는 입장을 보였던 한나라당 홍준표 최고위원도 이날 ”정 위원장이 출마 의사가 없는 만큼 전략공천은 포기하는 게 좋겠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는 나경원·정두언·서병수 최고위원 등이 전략공천을 통해 정 위원장을 후보로 내세우는 데 반대하는 상황에 더해진 것이어서 앞으로 분당을 공천 작업의 진통은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공천심사위원장인 원희룡 사무총장 등은 여전히 정 위원장 카드를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원 사무총장은 “만약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분당을에) 출마할 경우 전략공천 카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삼고초려라도 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상황이 이러자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이 국가의 대사로 이의 성사 여부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해 사퇴 기자회견설을 일축시켰다.
야권도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선거연대 협상이 시한을 넘기도록 타협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야4당은 진보성향 시민단체 4곳과 함께 지난달부터 재보선 지역 4곳(분당·순천·김해·강원)에 대한 후보 단일화 협상을 벌여왔으나 시한인 지난 20일 해법 도출에 실패했다.
민주당은 일찌감치 김해을 단일후보 선정방식을 놓고 국민참여 경선을 내세웠다. 이에 맞서 국민참여당은 여론조사 경선을 요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민단체들은 결국 이날 중재안을 내놓고 22일까지 각 정당이 수용할 것을 요구했다.
중재안에 따르면 김해을에서는 이달 마지막 주까지 여론조사를 통해 결선후보 2명을 뽑는다. 이후 내달 3일까지 국민참여 50%,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최종 후보를 선출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의 경우 “여론조사는 정당 정치의 취지를 무색케 하고 유권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도 못한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참여당도 ‘조직동원선거’가 우려된다며 난색을 표해 난항은 거듭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중재안 답변 시한인 내일이 지나면 야4당은 지역별 막판 단일화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후보 배출에 사활을 건 각 정당의 입장을 고려하면 이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