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행정안전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한국갤럽에 의뢰해 네티즌 2500명을 대상으로 2010년 정보문화 실태 조사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는 미검증 정보유포와 타인 개인정보 오남용, 타인 비방, 연령 등 신분 위조, 콘텐츠 무단 다운로드 및 인터넷자료 표절 등의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29.5%가 지난 1년간 콘텐츠를 무단 다운로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24.3%)에 비해 5%포인트 이상 상승한 수치다.
특히 소수 일탈자(7.1%)가 전체 무단 다운로드의 59.2%를 차지했고 연령대별로는 10대가 평균 27.9회로 가장 많았다.
성별과 직업 등 신분 위조를 시도한 이의 비율도 2009년 6.5%에서 2010년 7.8%로 상승했다.
다만 미검증 정보유포(3.1%→2.4%), 타인 개인정보 오남용(4.9%→3.2%), 인터넷 타인 비방(6.8%→5.4%), 인터넷 자료 표절(11.6%→11.4%) 등은 소폭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일탈행동을 한 네티즌 중 42.8%은 자신의 행동의 민형사상 책임을 사전에 인식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네티즌 중 75.5% 이상은 페이스북, 블로그 등 소셜 미디어를 소통채널로 이용했고 스마트폰 이용자가 비이용자보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구매, 정책토론 등의 사회참여가 활발할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