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내는 `부자 월급쟁이‘ 70만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4-13 11: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면수 기자) 종합소득세를 내는 근로소득자가 불과 3년 사이에 30만명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세청에 따르면 종합소득세를 내는 근로소득자는 지난 2006년 42만6319명에서 2009년 70만2647명으로 3년 새 30만명 가까이 증가했다. 이들의 소득 또한 같은 기간 18조원에서 30조원으로 무려 12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종합소득세는 이자, 배당, 부동산임대, 사업, 근로소득 등 여러 소득을 합쳐서 누진세율을 적용해 과세하는 세금을 말한다.

근로소득자가 종합소득세를 낸다는 것은 `투잡(Two Job)`을 가져 월급외에 사업소득을 벌거나, 예금 이자, 주식 배당금, 부동산 임대료 등 다른 소득원이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이들이 월급쟁이 중에서도 소득 상위군에 속하는 `부자 월급쟁이`라는 사실이다.

2009년 전체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2585만원이었다. 그런데 종합소득세를 낸 월급쟁이의 평균 급여는 4315만원에 달했다. 더구나 이는 부수입을 뺀 급여만을 계산한 것이다.

사업소득이나 이자 등의 부수입을 합치면 이들의 평균 소득은 보통 월급쟁이의 2배가량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이 전체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종합소득세를 내는 월급쟁이의 급여 총액은 2006년 전체 근로소득자 급여 총액의 5.8%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3년 후인 2009년에는 그 비중이 8.2%에 달했다. 점점 더 많은 부를 가져가고 있다는 의미다.

국세청 관계자는 “종합소득세를 낸다는 것은 상당히 높은 소득을 누리는 `부자 월급쟁이`라는 의미”라며 “연봉이 높거나 부모에게 물려받은 재산이 있으면 투잡이나 다른 소득원을 가지기도 더 쉽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