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경 장관 “납품단가 깎는 부서장 해고”

  • 대한상의 강연서…대중소 동반성장 강조

(아주경제 김지성 기자) “납품단가를 깎아서 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의) 부서장은 해고해야 한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13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특별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에 대한 대기업의 인식전환을 강조하면서 나온 말이다.

단가를 인하해서 수익을 내는 방식이 아닌 기업 생태계, 또는 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한 성장의 관점에서 협력업체들에게 힘을 실어 줘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는 대중소기업동반성장에 있어서 제도 이전에 기업문화의 개선을 주문하고 있는 정부의 정책방향과 맥을 같이 한다.

최 장관은 “기업을 소유하고 있는 분들이 장기적으로 생각해 봐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단가 인하가 한계에 이르면 장래에 부적절한 부품을 납품받게 된다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또 최 장관은 기업 관료들과 기업주들의 이익이 상충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기업 실무자들은 당장에 자기 부서의 이익을 높이기 위해 단가인하 압력이라는 방법을 써서라도 승진하기를 바라지만 이는 기업의 장기적 경쟁력에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 장관은 “기업주들이 이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안전 이슈가 부각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원자력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그는 “화석에너지는 고갈되는 중이고, 신재생에너지는 아직 부족하다”면서 “우리 경제의 중추인 중후장대 산업의 유지를 위해서 전력 가격이 비싸지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자력이 신재생에너지냐는 논란이 있다”면서 “기후변화 대응의 의미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최근 원달러 환율하락 추세에 대한 의견도 분명히 했다. “적정수준의 환율을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최 장관은 “환율정책이 대기업에만 혜택을 준다는 이야기는 우리나라에만 있다”면서 “적정수준의 환율을 유지해야 기업 일자리와 채산성을 지킬 수 있고 미래 성장력을 담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