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교육과학기술위 소속 민주당 김영진 등 야당 의원들은 KAIST 서 총장에 대한 해임촉구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김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결의안에는 같은 당 안민석 김상희 김유정 김춘진 의원과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 무소속 유성엽 의원 등이 서명했다.
이들은 결의안에서 “최근 KAIST에서의 잇따른 자살 사태는 무리한 학사운영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기인하는데도 서 총장은 ‘경쟁이 불가피하다’고 말하는 등 반교육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 총장은 교내의 비판적 의견에 대한 성찰 없이 일방적인 의사결정을 해 구성원과 국민들의 신뢰를 잃었다”며 “책임을 통감하지 않은 채 사퇴를 거부하는 서 총장을 즉각 해임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학계에서도 서 총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나오고 있다.
서울대 우희종 수의과 교수는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는 서 총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본다”며 “학생 자살 사태의 중심에 있는 서 총장이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은 문제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서 총장 ‘퇴진론’과 관련, “이사회에서 결정할 일이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대학 총장의 거취는 학내에서 스스로 협의해 수습할 문제다. 우리가 개입할 게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10일 임태희 대통령실장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KAIST 문제에 관한 포괄적인 보고를 받았으나, “청와대 내에서 이를 공론화하는 건 맞지 않는다”는 판단 아래 더 이상 관련 문제를 거론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튿날(11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KAIST 관련 사항을 일체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각에선 ‘교수 심사 강화’나 ‘입학생 심층면접 전형’ 등 KAIST가 시행한 ‘서남표’식 개혁이 현 정부 교육정책 방향과 겹치는 측면이 있어 청와대가 언급을 삼가는 것이란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다른 관계자도 “(서 총장을) 당장 어떻게 하려는 것보다는 공과를 정확히 판단하는 게 필요하다”며 “문제점이 있다면 스스로 개선토록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