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조선왕실의궤는 일본에 강탈된 지 89년만인 다음달께 우리나라로 되돌아 올 것으로 보인다.
일본 중의원은 이날 오후 열린 본회의에서 일본 정부가 제출한 한일도서협정 비준안을 기립 다수 찬성으로 가결해 참의원으로 넘겼다.
중의원 본회의에서 한일도서협정이 가결됨으로써 사실상 일본 국회의 비준이 종료됐다. 내달 중순 열릴 침의원 본회의를 통과해야 비준 절차가 끝나지만, 조약의 경우 중의원 가결 우선 원칙이 적용돼 참의원에서 반대해도 협정이 발효된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참의원에서 한일도서협정의 비준 절차가 종료되면 조선왕실의궤 등 궁내청에 보관된 우리 도서 1205책에 대한 반환 절차를 시작한다.
우리 문화재청은 일본 국회의 도서협정 비준이 종료되면 전문가로 구성된 실사단을 파견해 일본 측과 공동으로 도서를 최종 확인하고 반환 방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르면 이명박 대통령이 한·중·일 정상회의를 위해 도쿄를 방문하는 다음달 하순께, 늦어도 상반기안에는 일본이 우리 정부에 도서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마쓰모토 다케아키(松本剛明) 일본 외무상은 전날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한국도서의 인도가 미래지향적 일한관계 구축에 도움이 되고 양국 문화교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론으로 반대했던 자민당은 "한국에도 일본의 도서가 존재한다"며 "이는 너무 일방적"이라고 맞섰다.
한편 우리 도서 1205종이 사실상 돌아오게 되면서 국내 전문가들은 환영의 뜻을 표시하는 동시에 양국 우조 증진에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했다.
이번 반환대상 목록 작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 서지학자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은 "일본이 한·일 우호 관계 증진을 위해 이들 도서를 반환키로 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더구나 우리가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문화재 반환이 이뤄지게 된 것은 의미가 더 크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