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석회화 건염’을 아시나요?

  • 칼슘이 쌓여 통증 유발… 어깨통증 3대 질환 중 하나

(아주경제 이규복 기자)35세 직장인 박모씨는 얼마 전 잠을 자다가 극심한 어깨 통증으로 응급실을 찾았다. 마치 어깨 속에 종기가 난 것 같은 통증을 동반했다. 박씨의 병명은 급성 석회화 건염. 주사기를 사용해 어깨속의 뻑뻑한 석회를 제거해내자 통증은 금세 가라앉았다.

석회화 건염은 건에 돌멩이 같은 이물질들이 뭉쳐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꼭 어깨는 아니지만 어깨에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석회화 건염은 회전근개파열, 오십견과 함께 어깨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3대 질환 중 하나다.

김덕수 안양 튼튼병원 관절센터 원장은 “석회화 건염은 어깨에 연결된 인대 속에 칼슘이 침착하여 결정이 생기는 질환으로 화학종기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며 “환자에 따라 증상 없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급성 석회화건염은 25~45세까지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나타난다.

석회가 형성되거나 분해될 때 통증이 심해진다.

만성 석회화 건염은 50~60대에 주로 발생하며 팔을 움직였을 때 심한 통증을 나타내고 그 외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는 특징이 있다.

팔을 옆으로 들거나 들어서 돌리는 것이 어렵고 어깨의 견봉 아래쪽을 누르거나 팔을 들 때 통증이 나타난다면 석회화 건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석회화 건염이 심해지면 힘줄이 파열돼 팔을 들어 올릴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석회화 된 이물질의 크기는 3mm부터 3cm까지 다양하다. 다행히 일반 엑스레이 검사만으로도 이물질을 발견할 수 있어 진단이 쉬운 편이다.

석회가 발견됐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물질로 인해 통증이 유발됐을 때 치료하게 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국소 마취제를 주사해 통증을 가라앉히고 보존적 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 효과가 미미하다면 체외충격파치료를 실시해 볼 수 있다.

체외충격파치료기는 요로결석과 신장결석을 파쇄 하는데 사용하는 기기와 원리가 비슷하다.

어깨 인대에 생긴 석회화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낡은 조직을 자극해 새로운 조직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어깨 기능을 향상시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